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목적 10
2. 이론적 배경 14
1) SNS 중독 경향성 14
2) 병리적 자기애 17
3) 강화민감성 이론 19
3.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22
II. 방법 24
1. 연구대상과 절차 24
2. 인구통계학적 특성 24
3. 측정도구 25
1) SNS 사용 특성 조사 25
2) 병리적 자기애 척도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PNI) ) 25
3) 처벌 보상 민감성 질문지(Sensitivity to Punishment and Sensitivity to Reward Questionnaire: SPSRQ) ) 26
4) SNS 중독 경향성 척도 26
4. 자료 분석 방법 27
III. 결과 28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8
2. SNS 사용 특성 29
3. 측정변인들의 신뢰도 분석 31
4. 측정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32
5. 웅대성과 취약성 자기애 수준간 SNS 중독 경향성의 차이 34
6. 병리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강화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 35
1) 웅대성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강화민감성의 매개효과 35
2) 취약성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강화민감성의 매개효과 37
IV. 논의 39
V. 참고문헌 46
부록 51
ABSTRACT 60
표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28
표 2. 연구대상의 SNS 사용 특성 30
표 3. SNS 사용특성과 SNS 중독 경향성의 상관관계 31
표 4. 신뢰도 분석 32
표 5. 측정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33
표 6. 웅대성과 취약성 수준 간 SNS 중독 경향성의 차이 34
표 7. 웅대성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강화민감성의 매개효과 36
표 8. 웅대성 자기애와 강화민감성의 간접효과에 대한 Bootstrapping 36
표 9. 취약성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강화민감성의 매개효과 38
표 10. 취약성 자기애와 강화민감성의 간접효과에 대한 Bootstrapping 38
그림 1. 연구모형 23
그림 2. 매개효과 검증에 따른 최종 연구모형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