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8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1.2. 연구 방법 및 구성 9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2
2.1. 공적개발원조(ODA) 12
2.1.1. 공적개발원조의 개념과 추이 12
2.1.2.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16
2.2. 원조 효과성 18
2.2.1. 원조 효과성의 등장 배경 18
2.2.2. 원조 효과성에 대한 선행 연구 19
2.3. 양자원조와 다자원조 28
2.3.1. 양자원조와 다자원조의 개념과 지원 추이 28
2.3.2. 원조 형태에 따른 선행 연구 32
III. 다자원조와 양자원조의 개발 효과성 분석 35
3.1. 원조 형태에 따른 개발 효과성 35
3.1.1. 양자원조의 효과성 35
3.1.2. 다자원조의 효과성 41
3.1.3. 조건부적 효과성 46
3.1.4. 다자/양자원조의 비효과성 51
3.2. 문헌 비교 분석 56
3.2.1. 성과 영역에 따른 원조 효과성 56
3.2.2. 성장 모형에 따른 원조 효과성 57
3.2.3. 조사 대상 및 기간에 따른 원조 형태 57
3.2.4. 원조 효과성의 결정 요인 58
3.3. 소결 65
IV. 결론 70
4.1. 결론 70
4.2.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에 주는 정책적 제언 71
VI. 참고문헌 73
ABSTRACT 78
표 2.1. 개발 재원의 형태 13
표 2.2. 한국의 ODA 추진 현황 17
표 2.3.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형태 28
표 3.1. 개발 원조(DA)와 비개발 원조(NDA)의 구분 38
표 3.2. 다자/양자원조 비교 연구별 효과적인 원조 형태 54
표 3.3. 성과 영역에 따른 효과성 56
표 3.4. 원조-성장 모형에 따른 효과성 57
표 3.5. 조사 대상 및 기간에 따른 원조 형태 58
표 3.6. 원조 효과성 결정 요인 59
표 3.7. 성과 영역별 결정 요인 62
표 3.8. 원조 형태별 결정 요인 64
표 3.9. 항목별 비교 67
표 3.10. 성과별/형태별 결정 요인 비교 69
그림 1.1. 원조-성장 효과성 모형 10
그림 2.1. 공적개발원조(ODA)와 개발 협력 13
그림 2.2. 2017년 OECD DAC 회원국의ODA 지원 규모 14
그림 2.3. 한국의 ODA 추진 체계 17
그림 2.4. 원조 효과성에서의 거버넌스 개혁 내용 25
그림 2.5. 양자원조 지원 형태 29
그림 2.6. 다자원조 지원 형태 29
그림 2.7. OECD DAC의 총 ODA 지원금(2013년 기준) 30
그림 2.8. OECD DAC의 공여국의 원조 형태별 지원액 비율(201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