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Abstract 5
I. 서론 9
II. 방법론 10
1. 일반화 선형모형 10
2. 일반화 선형혼합모형 13
(1) 선혐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 13
(2) 일반화 선형혼합모형(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16
III. 실증분석 19
1. 자료소개 및 기초분석 19
(1) 자료소개 19
(2) 기초분석 20
2. 뇌혈관질환 진료건수 예측모형 22
(1) 일반화 선형모형 22
(2) 일반화 선형혼합모형 26
3. 모형평가 및 비교 35
IV. 결론 38
참고 문헌 39
[표 3.1] 뇌혈관질환의 진료건수와 의료급여 조회건수 기초 통계 21
[표 3.2] 기상요인 기초 통계 21
[표 3.3] 환경요인 기초 통계 21
[표 3.4] 소셜요인 기초 통계 21
[표 3.5] 뇌혈관질환 진료건수의 포아송 회귀모형 적합결과 23
[표 3.6] 뇌혈관질환 진료건수의 음이항 회귀모형 적합결과 24
[표 3.7] 일반화 선형혼합모형의 고정효과에 대한 추정 결과 34
[표 3.8] 뇌혈관질환 진료건수 적합모형의 평가 및 비교 35
[그림 3.1] 서울시의 뇌혈관질환 진료건수 시도표 19
[그림 3.2] 서울시 1일 제외 자료의 뇌혈관질환 진료건수 시도표 19
[그림 3.3] 서울시의 뇌혈관질환 의료급여 조회건수 시도표 20
[그림 3.4] 모형 적합에 사용된 설명변수들의 시도표 22
[그림 3.5] 모형 I의 적합 결과 25
[그림 3.6] 모형 II의 적합 결과 25
[그림 3.7] 지역별 의료급여 조회건수와 진료건수의 산점도 26
[그림 3.8] 1일 제외 자료의 지역별 의료급여 조회건수와 진료건수의 산점도 27
[그림 3.9] 모형 III의 적합 결과 28
[그림 3.10] 모형 IV의 적합 결과 30
[그림 3.11] 모형 V의 적합 결과 31
[그림 3.12] 모형 VI의 적합 결과 32
[그림 3.13] 모형 VII의 적합 결과 34
[그림 3.14] 적합모형별 잔차의 상자그림 36
[그림 3.15] 적합모형별 잔차 시도표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