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15
Ⅰ. 서론 2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
2. 용어의 정의 26
가. 공공 연구기관 26
나. 연구개발 인력 26
다. 전문직 정체성 26
라. 개인-직무 적합성 26
마. 개인-조직 적합성 27
바. 네트워킹 행동 27
사. 적응수행 27
아. 개발 리더십 27
Ⅱ. 문헌 고찰과 가설도출 28
1. 공공 연구기관 연구개발 인력 28
가. 공공 연구기관 28
나. 연구개발 인력의 특성 32
2. 전문직 정체성 38
가. 전문직 정체성의 이론 38
나. 전문직 정체성의 측정과 구성요소 46
다. 전문직 정체성의 연구 동향 52
3.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 54
가. 개인-환경 적합성 54
나. 네트워킹 행동 61
다. 적응수행 69
4. 개발 리더십 81
가. 개발 리더십 이론 81
나. 개발 리더십의 측정과 구성요소 89
5. 선행연구 고찰 및 가설도출 92
가.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 네트워킹 행동과 전문직 정체성의 관계에서 적응수행의 매개효과 92
나. 공공 연구기관 연구개발 인력의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과 네트워킹 행동, 적응수행, 그리고 전문직 정체성의 관계에서 개발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99
Ⅲ. 연구 방법 108
1. 연구 모형 108
2. 연구 대상 및 표집 112
3. 측정 도구 구성 115
4. 예비 조사 및 신뢰도 분석 결과 122
5. 본 조사 및 최종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23
6. 측정 도구 검증 127
가. 전체 측정모형 검증 127
나. 동일 방법 편의 확인 130
7. 자료 분석 방법 133
Ⅳ. 연구 결과 135
1.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회귀분석 기본가정 검증 135
2. 연구 변인의 상관관계 분석 137
3. 인구통계학 특성 및 긍정정서가 연구 변인에 미치는 영향 139
4. 가설 검증 결과 152
가.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 네트워킹 행동과 전문직 정체성의 관계에서 적응수행의 매개효과 152
나.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과 네트워킹 행동, 적응수행, 그리고 전문직 정체성의 관계에서 개발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156
다. 가설 검증 결과 종합 159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160
1. 요약 160
2. 결론 163
가.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163
나. 연구의 실천적 시사점 169
3. 제언 173
참고문헌 175
ABSTRACT 208
부록_설문조사지(안) 212
〈표 Ⅱ-1〉 국내 연구개발 인력 대상 양적연구 및 관련 변인 35
〈표 Ⅱ-2〉 전문직 집단의 특징 40
〈표 Ⅱ-3〉 전문직 정체성의 개념과 정체성의 초점 45
〈표 Ⅱ-4〉 국외 전문직 정체성의 측정 도구 49
〈표 Ⅱ-5〉 전문직 정체성 활용 양적 연구 및 관련 변인 52
〈표 Ⅱ-6〉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 활용 양적 연구 및 관련 변인 58
〈표 Ⅱ-7〉 네트워킹 행동의 개념과 강조점 63
〈표 Ⅱ-8〉 네트워킹 행동 활용 양적 연구 및 관련 변인 68
〈표 Ⅱ-9〉 HRD의 성과 및 개념 70
〈표 Ⅱ-10〉 적응수행의 개념과 강조점 73
〈표 Ⅱ-11〉 적응수행 변인 선행연구의 측정 도구 사용 동향 76
〈표 Ⅱ-12〉 적응수행 활용 양적 연구 및 관련 변인 77
〈표 Ⅱ-13〉 리더십의 정의 82
〈표 Ⅱ-14〉 리더십 이론의 발전 과정 83
〈표 Ⅱ-15〉 개발 리더십의 개념과 강조요소 85
〈표 Ⅱ-16〉 기존 리더십 이론에서의 관련 개발 리더십 하위 요인 88
〈표 Ⅱ-17〉 개발 리더십 활용 양적 연구 및 관련 변인 90
〈표 Ⅱ-18〉 기존 리더십의 조절 효과 실증 연구 결과 104
〈표 Ⅱ-19〉 기존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실증 연구결과 105
〈표 Ⅲ-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정부출연 연구기관 인력 현황(22년 1분기 공시 중 현원 기준) 114
〈표 Ⅲ-2〉 표본 설계 114
〈표 Ⅲ-3〉 설문지 구성 115
〈표 Ⅲ-4〉 연구개발 인력 대상 선행연구의 인구통계학 변인 121
〈표 Ⅲ-5〉 예비 조사의 내적 일치도 계수 123
〈표 Ⅲ-6〉 각 측정 도구별 불성실 응답 탐지 결과 125
〈표 Ⅲ-7〉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26
〈표 Ⅲ-8〉 전체 측정 모형 검증 결과 128
〈표 Ⅲ-9〉 본 조사의 내적 일치도 계수 129
〈표 Ⅲ-10〉 상관계수²(ϕ²) 및 AVE 수치 비교 130
〈표 Ⅲ-11〉 긍정정서 투입 전, 후 표준화계수 및 모형적합도 비교 132
〈표 Ⅳ-1〉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정규성 검증 결과 135
〈표 Ⅳ-2〉 연구 변인 간 다중공선성 검증 결과 137
〈표 Ⅳ-3〉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138
〈표 Ⅳ-4〉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구분에 따른 개인-직무 적합성 인식 수준 139
〈표 Ⅳ-5〉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긍정정서에 따른 개인-직무 적합성 인식 수준에 대한 개체 간 분석 결과 141
〈표 Ⅳ-6〉 경력기간에 따른 개인-직무 적합성 인식 수준 대응별 비교 141
〈표 Ⅳ-7〉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구분에 따른 개인-조직 적합성 인식 수준 142
〈표 Ⅳ-8〉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긍정정서에 따른 개인-조직 적합성 인식 수준에 대한 개체 간 분석 결과 143
〈표 Ⅳ-9〉 재직기간에 따른 개인-조직 적합성 인식 수준 대응별 비교 143
〈표 Ⅳ-10〉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구분에 따른 네트워킹 행동 인식 수준 144
〈표 Ⅳ-11〉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긍정정서에 따른 네트워킹 행동 인식 수준에 대한 개체 간 분석 결과 145
〈표 Ⅳ-12〉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구분에 따른 적응수행 인식 수준 146
〈표 Ⅳ-13〉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긍정정서에 따른 적응수행 인식 수준에 대한 개체 간 분석 결과 147
〈표 Ⅳ-14〉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구분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인식 수준 148
〈표 Ⅳ-15〉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긍정정서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인식 수준에 대한 개체 간 분석 결과 149
〈표 Ⅳ-16〉 최종학위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인식 수준 대응별 비교 149
〈표 Ⅳ-17〉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구분에 따른 개발 리더십 인식 수준 150
〈표 Ⅳ-18〉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긍정정서에 따른 개발 리더십 인식 수준에 대한 개체 간 분석 결과 151
〈표 Ⅳ-19〉 OLS 회귀분석 결과 153
〈표 Ⅳ-20〉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총 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154
〈표 Ⅳ-21〉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개인-조직 적합성의 총 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154
〈표 Ⅳ-22〉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네트워킹 행동의 총 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154
〈표 Ⅳ-23〉 연구변인 간 직, 간접효과의 효과크기 종합 156
〈표 Ⅳ-24〉 개발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정을 위한 OLS 회귀분석 결과 157
〈표 Ⅳ-25〉 개발 리더십 수준에 따른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건부 간접 효과와 조절된 매개지수 157
〈표 Ⅳ-26〉 개발 리더십 수준에 따른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건부 간접 효과와 조절된 매개지수 158
〈표 Ⅳ-27〉 개발 리더십 수준에 따른 네트워킹 행동의 조건부 간접 효과와 조절된 매개지수 158
〈표 Ⅳ-28〉 가설 1 검증 결과 159
〈표 Ⅳ-29〉 가설 2 검증 결과 159
[부표 1]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설립 목적 223
[부표 2] 경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설립 목적 225
[그림 Ⅱ-1]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환경과 시스템적 구조 31
[그림 Ⅱ-2] 개인-환경 적합성 개념적 모형 56
[그림 Ⅱ-3] 적응수행의 통합적 모형 79
[그림 Ⅱ-4] 근로자의 적응수행의 선행요인 모델 80
[그림 Ⅲ-1] 연구 모형 109
[그림 Ⅲ-2] 가설 검정을 위한 통계적 모형(모델 4) 110
[그림 Ⅲ-3] 가설 검정을 위한 통계적 모형(모델 14)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