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초록
Abstract
목차
서론 22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대상 22
제2절 선행 연구 검토와 연구 과제 35
제3절 장절 구성과 자료 소개 46
제1장 소외기(1914~1918) : 평양 개발의 '이중구조'와 조선인 소외 57
제1절 일본인 중심의 행정구역 및 권리 재편 시도 57
1. 부 행정구역 대폭 축소와 일본인 도시화 시도 57
2. 부협의회의 민족별 同數 임명과 조선인 계몽운동 세력 참여 71
제2절 토목비 지출의 '이중구조' 90
1. 시가정비와 防水·排水사업의 남부 驛前 新市街 편향 90
2. 1등도로 연선에 한정된 남북 간선도로 정비 98
제3절 재원 부족과 '大平壤'론에 함축된 부 세입 확대책 106
1. 舊 일본인 거류민단 재산 부족과 부 영업세 의존 106
2. '국책'회사·대기업 대상 '大工業地'론에 내포된 부 재정 확대론 111
제2장 형성기(1919~1928) : '국책' 개발 실패와 조선인의 주도권 장악 122
제1절 '국책' 기반 '東平壤' 개발론과 조선인 지역 여론 환기 124
1. 남만주철도㈜·동양척식㈜ 주도 개발 논의와 3·1운동의 여파 124
2. 워싱턴회의(1922) 이후 조선인 엘리트의 부협의회 적극 활용 134
제2절 '식민지 조선 단위'의 이해관계 조정 실패와 동평양 개발론 무산 159
1. 일본 대기업·일본인 중심 시가계획 160
2. 철도·재원·防水의 연쇄적 엇박자와 對案 모색 필요 168
제3절 電氣府營 후 조선인의 府 '豫算政治' 주도와 북부 개발 결정 177
1. 운동의 조선인 주도 전환과 전기부영 결정 177
2. 요금 20% 인하와 조선인의 '예산정치' 주도 188
3. 급조된 거래로서 전기 적립금의 「西平壤市街計畫」 일부 轉用 194
제3장 대립기(1929~1937) : 개발의 제한적 수혜와 조선인 정치세력 약화 202
제1절 조선인 대상 시가계획의 배경과 조선인 정치세력 약화 203
1. '국책'과 일본인 대상에서 일탈한 「西平壤市街計畫」 203
2. 조선인 주도 '大平壤'론의 정치적 딜레마 219
제2절 부 계획으로서 북부 조선인 '중소공장지구' 조성 241
1. 공사 지연과 부협의회 초유의 조선인 예산 수정안 제출 241
2. 공황·일본인 반대라는 악재 해소와 지연 준공 246
3. 북부 교외의 조선인 공장주·부동산 부자 증가 255
제3절 조선총독부의 대안 제시 차단과 부영전기 유지 실패 262
1. 영업권 통일 후 조선인 상공업자의 동력요금 인하론 무산 262
2. 총독부의 배전통제 압박과 지역사회 내 입장 차이 266
3. 상공업자의 부영전기 포기와 동양척식㈜계 회사 편입 277
제4장 종속기(1938~1945) : 軍需工業化와 '자치' 권한 축소 286
제1절 '국책' 편중 개발과 '자치' 기구의 종속 287
1. 군수공업화로서 '평남 광역 개발'과 평양의 '횡단형 개발' 287
2. 조선인 부회 유권자 폭증과 권한 약화 298
제2절 동평양 중심 개발과 서부 '제2중소공업지대' 계획의 형해화 316
1. 시가지계획 초안 '자문'과 유인책으로서 舊市街 정비안 추가 316
2. '국책' 목적 동평양 중심 개발과 재평양 조선인 지주 부담 증가 325
3. 서부 개발 비용의 추가 부담과 구시가·북부 소외 335
제3절 配電회사 경영 개입 차단과 재원·요금 혜택 약화 347
1. 주주배당금이 대체한 부 자체재원과 동력요금의 현상유지 347
2. 서선합동전기㈜ 중역 선임 차단과 최대주주 박탈 356
결론 369
참고문헌 382
부록 423
〈표 1〉 조선인 지역엘리트의 부(협의)회 참여 이유 28
〈표 2〉 시기구분과 평양부(협의)회 구성·안건 변화 50
〈표 1-1〉 「부제」 전후 부역(府域) 변화 65
〈표 1-2〉 1912년 조선총독부의 부 참여 인원 구상 76
〈표 1-3〉 1910년대 관선 평양부협의회원 80
〈표 1-4〉 부 전체 및 평양부 세출 예산 98
〈표 1-5〉 1913년도 이후 상환해야 할 거류민단채 총람(1912.5.31.) 100
〈표 1-6〉 평양부 계속토목사업 재원(1914~1916, 1918~1922) 101
〈표 1-7〉 부 전체 및 평양부 세입 예산 107
〈표 2-1〉 평양 교외 시가계획의 논점 분류(1919~1928) 123
〈표 2-2〉 평양상업회의소 평원선 조사(1918, 좌측 표) 125
〈표 2-3〉 「平壤對岸市街計畫」상의 평양부 인구(1912~1919, 지수[100]=1914, 우측 표) 125
〈표 2-4〉 평양부 민족별 전등 수용 비율(1916~1929) 139
〈표 2-5〉 평양부 공장 관련 통계 및 원동력(마력) 변화(1914~1928) 139
〈표 2-6〉 평양부 호수, 부협의회 유권자의 수, 유권자 대비 호수 비율(1920~26) 147
〈표 2-7〉 경성, 평양, 전체 부협의회 유권자 수, 투표자 수, 투표율(1920, 1923, 1926) 149
〈표 2-8〉 1920, 1923, 1926년 평양부협의회 선거 당선자 150
〈표 2-9〉 평양부협의회 예산부회 개최일수(1919~1928) 159
〈표 2-10〉 「平壤對岸市街計畫」 면적 161
〈표 2-11〉 「시가계획」 재원 분류표 166
〈표 2-12〉 조선전기흥업㈜-평양부 간 전력요금 교섭 190
〈표 2-13〉 1927년 부영 전후 정액등(內燈) 요금 변화 191
〈표 2-14〉 1919~1928년 평양부 세입 194
〈표 3-1〉 평양 부역 확장 계획(1921, 1930)과 실제 확장 구역(1929) 205
〈표 3-2〉 조선 4대 도시계획서(1930~1931)의 체재 206
〈표 3-3〉 평양부 및 도시계획 구역 인구 수(1914~1928) 209
〈표 3-4〉 「평양도시계획서」의 구역면적표 210
〈표 3-5〉 평양부 공장표(1929년 말) 214
〈표 3-6〉 평양부 호수, 부(협의)회 유권자, 유권자/호수(1920~1935) 221
〈표 3-7〉 1929, 1931, 1935년 평양부(협의)회 선거 당선자 225
〈표 3-8〉 평양부(협의)회 예산부회 기일(1929~1937) 231
〈표 3-9〉 특집·좌담회에서 평양 조선인 지역엘리트의 지역 인식(1930~1936) 233
〈표 3-10〉 「서평양시가계획」의 예산(下)·결산(上)(1927~1932) 246
〈표 3-11〉 「서평양시가계획」 공채상환액 및 매각 예정/실적 면적·가액(1928~1937) 248
〈표 3-12〉 평양부 토지 매매건수(1931~1934) 249
〈표 3-13〉 평양경찰서 조사 평양·서평양 인구(1932~1935.9) 256
〈표 3-14〉 평양부 구역별 공장 수(1930~1937) 259
〈표 3-15〉 평양부 업종별 공장 수(1930~1937) 259
〈표 3-16〉 전흥 동력사용자의 산업별 사용량 비율(1928.1~12) 264
〈표 3-17〉 1929~1937년 평양부 세입 267
〈표 3-18〉 평양부영전기 동력요금 270
〈표 3-19〉 평양부 정액등(內燈) 요금 271
〈표 4-1〉 평양부 구역별 공장 수(1937~1941) 299
〈표 4-2〉 평양부 업종별 공장 수(1937~1941) 300
〈표 4-3〉 평양부 호수, 평양부(협의)회 유권자 수, 유권자/호수(1920~1943) 305
〈표 4-4〉 1939, 1943년 평양부회 선거 당선자 308
〈표 4-5〉 「조선총독부관보」 게재 평양시가지계획 관련 고시 324
〈표 4-6〉 평양 제1~3토지구획정리사업 개요 329
〈표 4-7〉 평양 제1~3토지구획정리 전후 토지면적, 평가액 329
〈표 4-8〉 평양 제1~3토지구획정리지구 지주 구성 330
〈표 4-9〉 「평양부 공장용지조성비 수지 개산조」(1943) 333
〈표 4-10〉 서전→평양부 배당금·보상금(1938~1944) 348
〈표 4-11〉 평양부 일반회계 세입구조(1938~1944) 350
〈표 4-12〉 서선합동전기㈜의 주요 주주 구성(1938~1941) 356
〈표 4-13〉 서선합동전기㈜ 경영진(1938~1944) 358
〈표 4-14〉 서선합동전기㈜ 경영진 출신별 구성(1938~1944) 359
〈그림 1-1〉 「여지도」(18세기 말 추정) 중 평안도 일부 58
〈그림 1-2〉 「부제」(1914) 후 평양부·대동군 구역 64
〈그림 1-3〉 대동군청과 평남도청, 평양부청(1915) 69
〈그림 1-4〉 평양 주요 도로 노선(1914) 92
〈그림 1-5〉 「평양시가도로개수공사」(1911~1915) 노선 93
〈그림 1-6〉 「평양부시가지도」(1923) 일부 104
〈그림 1-7〉 조선병기제조소의 위치(1921) 113
〈그림 2-1〉 「平南工産分布圖」(1923~1926 추정) 140
〈그림 2-2〉 「기성도병」(19세기 추정, 좌) 일부분, 「평양」(1915, 우), 제1기 시가지구 계획(하) 160
〈그림 2-3〉 제1기 공장지구 계획 163
〈그림 2-4〉 제2기 시가지구 계획(좌), 공장지구 계획(우) 163
〈그림 2-5〉 「평남 공장·광산·鑛泉·古跡 위치도」 일부 169
〈그림 2-6〉 조선전기흥업㈜ 설립 후 평양부 전기공급 상황 179
〈그림 2-7〉 부영(1927) 당시 평양부의 전기사업 차익금 예상 195
〈그림 3-1〉 평양부 행정구역(1914~1938) 204
〈그림 3-2〉 「대동강보통강합류점부근개수공사평면도」(1936) 일부 207
〈그림 3-3〉 「평양도시계획서」(1930)의 구역 분류 211
〈그림 3-4〉 「부제」 재개정 후 예상 평양부(협의)회 유권자 수(1928~1929) 220
〈그림 3-5〉 「서평양시가계획」 시가건설(예정)지(1929) 242
〈그림 3-6〉 「기성전도」(미상)의 기림리 일대(左) 252
〈그림 3-7〉 「기성도병」(19세기)의 기림리 일대(右) 252
〈그림 3-8〉 「평양 모란대공원 조감도」(左, 1930년대 추정) 252
〈그림 3-9〉 「서평양역 엽서」(右, 1930년대 추정) 253
〈그림 3-10〉 「平壤府全圖」(1935, 1937)에 표기된 기림리·인흥리 255
〈그림 3-11〉 평양부 민족별 1호당 부세 부담액(1924~1941) 269
〈그림 3-12〉 평양부의 부영전기 차액 예상액(1927, 1937) 280
〈그림 3-13〉 평양부영전기의 위상(1927~1937) 284
〈그림 4-1〉 평양 인근 철도약도(1937, 1944) 289
〈그림 4-2〉 평양부 제3차 부 행정구역 확장 지구(1943) 294
〈그림 4-3〉 「평양시가지계획평면도」(1938)와 구역 분류 295
〈그림 4-4〉 「평양부회의원선거투표구역도(1938)」 304
〈그림 4-5〉 평양부 예산부회 기일(1914~1945) 314
〈그림 4-6〉 제2~4대동교 부설 예정지 318
〈그림 4-7〉 「평양시가지계획」 大路 제3류 4호선 초안·수정안 319
〈그림 4-8〉 숭인도로 일부 개수 예정선(1939) 326
〈그림 4-9〉 평양부 일반회계 예산액(1914~1944) 336
〈그림 4-10〉 평양 공장지구 설계 평면도(1943)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