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DBII_NAS1 FTP server ready.
y>목차
국문초록 11
Abstract 13
제1장 서론 16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1.3. 선행연구 분석 및 차별점 18
제2장 20세기 중·후반 한국 현대건축에서 전통 논의의 흐름 20
2.1. 형태적 모방과 재해석 20
2.2. 형태에서 공간으로의 전환 25
2.3. 마당과 비움 32
제3장 비움 담론의 확산과 다변화 분석 38
3.1. 1990년대 전환기 비움 담론의 형성 배경 38
3.2. 4.3그룹과 비움의 여러 갈래 44
제4장 민현식과 승효상의 비움 48
4.1. 이론화 작업에서의 비움 48
4.1.1. 민현식의 마당 48
4.1.2. 승효상의 보이드 57
4.1.3. 비움과 관계 63
4.2. 설계 작업에서의 비움 71
4.2.1. 초기작에서 나타나는 비움의 특성 72
4.2.2. 비움의 영역성 / 연계성 82
4.2.3. 주변요소의 강조 / 제한 96
4.3. 대상으로서의 비움, 매개체로서의 비움 104
제5장 결론 106
참고문헌 108
[표 1-1] 선행연구 19
[표 2-1] 4.3그룹 구성원이 참여한 비움 관련 세미나 36
[표 3-1] 시대정신과 관련된 4.3그룹의 활동 43
[표 3-2] 《이 시대 우리의 건축》 작품별 개념어 44
[그림 2-1] 주한 프랑스대사관 전경 (왼쪽부터 순서대로 대사관저, 대사 집무동, 직원 업무동) 21
[그림 2-2] 국립종합박물관 투시도 22
[그림 2-3] 동아일보 기사 23
[그림 2-4] 국립부여박물관 23
[그림 2-5] 공간사옥 구사옥 25
[그림 2-6] 공간사옥 현재 전경 25
[그림 2-7] 김원석의 스케치 26
[그림 2-8] 공간사옥의 비어 있는 공간 26
[그림 2-9] 공간사옥 Major Space에서 석탑까지의 극적인 외부공간 연출 29
[그림 2-10] 전시장 전경 32
[그림 2-11] 외부 마당에 전시된 옹기 32
[그림 3-1] 전통건축의 마당 43
[그림 3-2] 국립국악중고등학교 필로티 43
[그림 3-3] 『이 시대 우리의 건축』, 방철린 편 2-3쪽. 47
[그림 3-4] 『이 시대 우리의 건축』, 우경국 편 2-3쪽. 47
[그림 4-1] 『이 시대 우리의 건축』, 민현식 편 6-7쪽. 53
[그림 4-2] 『이 시대 우리의 건축』, 승효상 편 2-3쪽. 59
[그림 4-3] 가르시아 마르코스 주택을 위한 드로잉 68
[그림 4-4] 알베르토 캄포 바에자, 가스파 하우스 68
[그림 4-5] 나인 스퀘어 컨셉 68
[그림 4-6] 기능 배분 개념 다이어그램 72
[그림 4-7] 가변의 방법 다이어그램 72
[그림 4-8] 정릉 C씨댁 평면도 73
[그림 4-9] 정릉 C씨댁 단면도 73
[그림 4-10] 성북동 K씨 주택 평면도 74
[그림 4-11] 성북동 K씨 주택 시퀀스 다이어그램 74
[그림 4-12] 민현식, 분당 신도시 공동주택 1, 2층 평면도 77
[그림 4-13] 승효상, 분당 신도시 공동주택 1, 2층 평면도 78
[그림 4-14] 민현식, 분당 신도시 공동주택 모형 80
[그림 4-15] 승효상, 분당 신도시 공동주택 모형 80
[그림 4-16] 신도리코 아산공장 본관 평면도 83
[그림 4-17] 신도리코 아산공장 본관 마당 83
[그림 4-18] 신도리코 기숙사II 마당 84
[그림 4-19] 성약교회 마당 84
[그림 4-20] 성약교회 1층 평면도 85
[그림 4-21] 성약교회 전경 85
[그림 4-22] 동광감리교회 1층 평면도 85
[그림 4-23] 동광감리교회 전경 85
[그림 4-24] 수졸당 평면도 86
[그림 4-25] 수졸당 엑소노메트릭 86
[그림 4-26] 여러 켜를 형성하고 있는 수졸당의 마당들 87
[그림 4-27] 수백당 1층 평면도 87
[그림 4-28] 수백당 전경 87
[그림 4-29] 수졸당의 담 89
[그림 4-30] 수백당의 벽 89
[그림 4-31] 대전대학교 혜화문화관, 제2기숙사 모형 90
[그림 4-32] 혜화문화관 4층 평면도 93
[그림 4-33] 혜화문화관 5층 평면도 93
[그림 4-34] 혜화문화관 3층 평면도 93
[그림 4-35] 혜화문화관 2층 평면도 93
[그림 4-36] 대전대학교 캠퍼스 배치도 94
[그림 4-37] 혜화문화관 진입로 (왼쪽에서부터각가각 서쪽 진입부, 동쪽 진입부, 기숙사쪽 진입부) 94
[그림 4-38] 국립국악중고등학교 회랑 95
[그림 4-39] 성약교회 회랑 95
[그림 4-40] 신도리코 아산공장 본관 선큰 95
[그림 4-41] 국립국악중고등학교 필로티 96
[그림 4-42] 국립국악중고등학교 복도 96
[그림 4-43] 한국전통문화학교 마당 97
[그림 4-44] 대전대학교 제2기숙사 전경 97
[그림 4-45] 신도리코 아산공장 본관 전경 99
[그림 4-46] 신도리코 기숙사II 전경 99
[그림 4-47] 신도리코 아산공장 진입부 100
[그림 4-48] 한국전통문화학교 마당의 수로 100
[그림 4-49] 웰콤시티 3층 평면도 101
[그림 4-50] 보이드를 관통하는 복도 101
[그림 4-51] 신도리코 아산공장 본관 마당 쪽 입면 102
[그림 4-52] 웰콤시티 보이드 쪽 입면 102
[그림 4-53] 웰콤시티 창문 103
[그림 4-54] 대전대학교 혜화문화관 입면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