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요약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선행 연구 검토 12
3. 연구 방법 17
가. 연구 대상 17
나. 연구 절차 18
Ⅱ. 이론적 배경 19
1. 용어의 정의 19
가. 메타버스(Metaverse) 19
나. 설계 기반 연구 21
2. 설계 기반 연구(DBR)의 방법과 절차 22
Ⅲ. 메타버스 활용 문학 수업의 형성적 순환 25
1. 현장 검토 및 문헌 조사 25
가. 현장 검토를 통한 가설 설정 25
나. 문헌 조사를 통한 교육적 개입안의 도출 26
2. 1차 형성적 순환 31
가. 1차 교육적 개입안의 적용 31
나. 1차 교육적 개입안의 평가 및 개선 40
3. 2차 형성적 순환 43
가. 1차 교육적 개입안의 수정과 2차 교육적 개입안의 적용 43
나. 2차 교육적 개입안의 평가 및 개선 50
4. 3차 형성적 순환 52
가. 2차 교육적 개입안의 수정과 3차 교육적 개입안의 적용 52
나. 3차 교육적 개입안의 평가 및 개선 58
다. 형성적 순환 절차의 종료 61
Ⅳ. 이론과 실제를 통합한 교육적 개입안의 완성 및 현장 적용 시 고려사항 62
1. 설계 원리 및 세부 지침의 완성 62
2. 현장 적용 시 고려사항 63
Ⅴ. 결론 및 제언 66
1. 결론 66
2. 제언 68
참고 문헌 69
부록 71
Abstract 77
[표 1] 교육용 메타버스 콘텐츠 유형 19
[표 2] 단계별 절차 및 내용 23
[표 3] 현장 수업에서의 문제의식과 잠정적 가설의 관계 26
[표 4] 분석 내용과 선행 연구의 관계 26
[표 5] 1차 교육적 개입안 29
[표 6] 1차 적용 수업의 성취기준 및 학습 목표 32
[표 7] 학습 요소 재구성 및 메타버스 콘텐츠 유형 34
[표 8] 메타버스 활용 문학 수업의 설계 35
[표 9] 협력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모형 36
[표 10] 2차 교육적 개입안 44
[표 11] 학습요소 재구성 및 메타버스 콘텐츠 유형 46
[표 12] 3차 교육적 개입안 53
[표 13] 학습요소 재구성 및 메타버스 콘텐츠 유형 55
[표 14] 교육적 개입안의 최종안 62
〈그림 1〉 메타버스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33
〈그림 2〉 「엄마 걱정」 1차시 준비 결과물 37
〈그림 3〉 「엄마 걱정」 2차시 메타버스 구현 결과물 38
〈그림 4〉 「엄마 걱정」 3차시 활동 결과 39
〈그림 5〉 「고향」 1차시 준비 결과물 47
〈그림 6〉 「고향」 2차시 메타버스 구현 결과물 48
〈그림 7〉 「고향」 3차시 활동 결과 49
〈그림 8〉 「동백꽃」 1차시 준비 결과물 56
〈그림 9〉 「동백꽃」 2차시 메타버스 구현 결과물 57
〈그림 10〉 「동백꽃」 3차시 활동 결과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