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자기애적 성향 및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자기애적 성향, 성인애착, 정서표현양가성,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인의 자기애적 성향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성인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3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73명의 자료를 SPSS Ver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애적 성향 및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Sobel test를 통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개애적 성향, 성인애착, 정서표현양가성,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자기애적 성향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는 성인의 자기애적 성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조절할 수 있다면 대인관계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는 불안정 성인애착을 형성할 경우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조절할 수 있다면 대인관계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의 자기애적 성향 및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성인의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잘 이해하고 타인에게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교육과 상담적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