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부산시, 김해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을 대상으로 각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최소 50명 이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1학년의 경우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이 가장 높고, 2~4학년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이 가장 높다.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 진로성숙도 순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상관이 높고,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성숙도 순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상관이 높다.
둘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탄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학생은 진로정체감이,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2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녀학생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3학년 전체의 경우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4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여학생은 진로성숙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 대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녀학생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진로준비행동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학년이나 성별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차원에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로상담, 체험을 위한 진로프로그램, 진로 관련 특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