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배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배려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A 중학교 학생 34명을 표집하여 17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17명은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Ver. 2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구성 내용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긍정적 사고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배려 척도를 사용하였다.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주 2회 45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자신의 주변 환경인 가족, 친구, 학교생활에서 발생하는 경험과 감정들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 소통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자기분석, 감정탐색 및 조절, 자기수용, 공감과 경청, 사과와 용서, 가치와 배려, 감사로 구성된다.
둘째,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 향상에 효과가 있다. 긍정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주관적 만족 및 목표 추구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셋째,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넷째,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배려 향상에 효과가 있다. 배려의 하위요인인 인지, 정서, 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 및 자아존중감, 배려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중학생들의 건전하고 건강한 심리적 발달과 또래 및 교사와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통해 긍정적인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중학교 수업에 적용하여 인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