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9
3. 용어의 정의 20
가.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20
나. 긍정적 사고 20
다. 자아존중감 20
라. 배려 21
Ⅱ. 이론적 배경 22
1. 인성교육 22
가. 인성의 개념 및 특성 22
나. 인성교육의 개념 및 특성 24
다. 인성교육의 구성내용 26
2. 긍정심리학 31
가. 긍정심리학의 개념 및 특성 31
나. 긍정심리학의 구성내용 36
3. 긍정적 사고 46
가. 긍정적 사고의 개념 및 특성 46
나. 긍정적 사고의 구성요인 48
4. 자아존중감 49
가. 자아존중감의 개념 및 특성 49
나. 자아존중감의 구성요인 51
5. 배려 53
가. 배려의 개념 및 특성 53
나. 배려의 구성요인 55
6.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긍정적 사고, 자아 존중감, 배려에 미치는 효과 57
가.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긍정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57
나.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59
다.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배려에 미치는 효과 61
Ⅲ. 연구방법 64
1.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및 절차 64
가. 프로그램 개발 절차 64
나. 분석 66
다. 설계 75
라. 개발 77
마. 실행 81
바. 평가 81
2.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방법 82
가. 연구 참여자 82
나. 실험설계 82
다. 측정도구 83
라. 자료 수집 및 처리 84
Ⅳ. 연구결과 86
1.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86
2.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긍정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92
3.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94
4.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배려에 미치는 효과 96
Ⅴ. 논의 99
1.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 99
2.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긍정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 105
3.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 107
4.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배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 109
Ⅵ. 결론 112
참고문헌 115
부록 135
부록 1 135
부록 2 139
Abstract 151
〈표 1〉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인성교육 구성내용 30
〈표 2〉 긍정심리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68
〈표 3〉 인성교육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71
〈표 4〉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회기별 주제, 목표, 방법 76
〈표 5〉 예비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회기별 활동 주제 및 내용 77
〈표 6〉 연구 참여자의 집단별, 성별 분포 82
〈표 7〉 실험설계 82
〈표 8〉 긍정적 사고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83
〈표 9〉 자아존중감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84
〈표 10〉 배려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84
〈표 11〉 최종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회기별 활동 주제 및 내용 90
〈표 12〉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에 대한 사전검사, 사후검사, 조정된 사후 검사의 기술통계 92
〈표 13〉 실험처치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에 대한 공분산분석 93
〈표 14〉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검사, 사후검사, 조정된 사후 검사의 기술통계 94
〈표 15〉 실험처치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공분산분석 95
〈표 16〉 중학생의 배려에 대한 사전검사, 사후검사, 조정된 사후검사의 기술통계 97
〈표 17〉 실험처치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배려에 대한 공분산분석 97
[그림 1] PERMA 모델 33
[그림 2] 긍정심리평가 모델 37
[그림 3]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45
[그림 4] ADDIE 모형에 근거한 긍정심리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