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23
3. 용어의 정의 24
가. 사회적 지지 24
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24
다. 진로포부 25
라. 진로탄력성 25
마. 진로낙관성 25
바. 진로준비행동 26
Ⅱ. 이론적 배경 27
1. 사회적 지지 27
가. 사회적 지지의 개념 27
나. 사회적 지지의 구성요인 31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 37
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 37
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 41
3. 진로포부 43
가. 진로포부의 개념 43
나. 진로포부의 구성요인 48
4. 진로탄력성 51
가. 진로탄력성의 개념 51
나. 진로탄력성의 구성요인 55
5. 진로낙관성 58
가. 진로낙관성의 개념 58
나. 진로낙관성의 구성요인 63
6. 진로준비행동 65
가. 진로준비행동의 개념 65
나. 진로준비행동의 구성요인 69
7.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효능감, 진로포부, 진로탄력성, 진로낙관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72
가.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72
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74
다. 사회적 지지, 진로포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78
라. 사회적 지지,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80
마. 사회적 지지, 진로낙관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83
Ⅲ. 연구방법 86
1. 연구대상 86
2. 측정도구 86
가. 사회적 지지 척도 86
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87
다. 진로포부 척도 88
라. 진로탄력성 척도 89
마. 진로낙관성 척도 89
바. 진로준비행동 척도 90
3. 자료수집 91
4. 자료처리 91
Ⅳ. 연구 결과 93
1.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탄력성, 진로낙관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93
2.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94
3.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98
4.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100
5.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낙관성의 매개효과 103
Ⅴ. 논의 106
1.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탄력성, 진로낙관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106
2.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114
3.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116
4.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118
5.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낙관성의 매개효과 119
Ⅵ. 결론 121
참고문헌 123
부록 170
Abstract 176
〈표 1〉 연구대상의 학년별, 성별 분포 86
〈표 2〉 사회적 지지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87
〈표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88
〈표 4〉 진로포부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88
〈표 5〉 진로탄력성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89
〈표 6〉 진로낙관성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90
〈표 7〉 진로준비행동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91
〈표 8〉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탄력성, 진로낙관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n=377) 93
〈표 9〉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96
〈표 10〉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Sobel test 결과 98
〈표 11〉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98
〈표 12〉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Sobel test 결과 100
〈표 13〉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101
〈표 14〉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Sobel test 결과 103
〈표 15〉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낙관성의 매개효과 103
〈표 16〉 진로낙관성의 매개효과 Sobel test 결과 105
[그림 1] 연구모형 85
[그림 2]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탄력성, 진로낙관성의 매개모형 95
[그림 3]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96
[그림 4]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99
[그림 5]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101
[그림 6]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낙관성의 매개효과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