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제2절 용어의 정의 19
1. 경력단절여성 19
2. 주도성 19
3. 진로적응성 19
4. 진로결정자기효능감 20
5. 고용가능성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2
제1절 경력단절여성 22
1. 경력단절여성의 개념 22
2. 경력단절여성 현황 23
제2절 진로구성이론과 진로적응모형 27
1. 진로구성이론 27
2. 진로적응모형 29
제3절 주도성 34
1. 주도성의 개념 34
2. 주도성의 구성요인과 측정 37
제4절 진로적응성 39
1. 진로적응성의 개념 39
2. 진로적응성의 구성요인과 측정 40
제5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44
1.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 44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과 측정 45
제6절 고용가능성 48
1. 고용가능성의 개념 48
2. 고용가능성의 구성요인과 측정 50
제7절 연구 변인 간의 관계 55
1. 주도성과 고용가능성의 관계 55
2. 주도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57
3. 주도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58
4. 진로적응성과 고용가능성의 관계 60
5. 진로적응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61
6.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 62
7. 주도성,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고용가능성의 관계 64
제3장 연구방법 68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68
1. 연구모형 68
2. 연구가설 69
제2절 조사방법 71
1. 연구대상 71
2. 측정도구 73
3. 분석방법 84
제4장 연구결과 88
제1절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정규성 검증 88
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량 88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수준 89
3. 측정변인의 정규성 분석 92
4. 측정변인의 다중공선성 진단 93
5.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94
제2절 연구모형 검증 96
1.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96
2. 구조모형 분석 102
제3절 논의 110
1. 연구모형 110
2. 주도성,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고용가능성의 직접효과 111
3.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116
제5장 요약, 결론 및 제언 120
제1절 요약 120
제2절 결론 및 제언 122
1. 결론 122
2. 제언 126
참고문헌 128
부록 146
Abstract 152
〈표 2-1〉 여성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 24
〈표 2-2〉 경력단절여성 규모 24
〈표 2-3〉 연령대별 경력단절여성 규모 25
〈표 2-4〉 경력단절 사유 26
〈표 2-5〉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진로적응모형 영역별 변인 32
〈표 2-6〉 주도성의 개념 정리 35
〈표 2-7〉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진로적응성의 구성요인 41
〈표 2-8〉 진로적응성 측정도구 종합 43
〈표 2-9〉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 46
〈표 2-10〉 고용가능성의 개념 정리 49
〈표 2-11〉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고용가능성의 구성요인 52
〈표 2-12〉 고용가능성 측정도구 종합 54
〈표 3-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1
〈표 3-2〉 측정도구 구성 73
〈표 3-3〉 주도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4
〈표 3-4〉 주도성 관찰변인 신뢰도 분석 결과 75
〈표 3-5〉 진로적응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6
〈표 3-6〉 진로적응성 관찰변인 신뢰도 분석 결과 78
〈표 3-7〉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9
〈표 3-8〉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찰변인 신뢰도 분석 결과 80
〈표 3-9〉 고용가능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1
〈표 3-10〉 고용가능성 관찰변인 신뢰도 분석 결과 83
〈표 3-11〉 분석방법 84
〈표 4-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량 88
〈표 4-2〉 경력단절여성의 연령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 89
〈표 4-3〉 경력단절여성의 학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 90
〈표 4-4〉 경력단절여성의 가구 월평균 소득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 91
〈표 4-5〉 측정변인의 정규성 검증 결과 92
〈표 4-6〉 측정변인의 다중공선성 진단 결과 93
〈표 4-7〉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94
〈표 4-8〉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7
〈표 4-9〉 측정모형의 적합도 98
〈표 4-10〉 잠재변인의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98
〈표 4-11〉 잠재변인의 판별타당도 검증 결과 100
〈표 4-12〉 측정변인의 설명력 결과 101
〈표 4-13〉 구조모형의 적합도 103
〈표 4-14〉 직접효과 분석 결과 103
〈표 4-15〉 매개효과 분석 결과 106
〈표 4-16〉 모형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108
[그림 2-1] 진로적응모형 29
[그림 2-2] Yorke & Knight(2004)의 USEM 모형 63
[그림 3-1] 연구모형 68
[그림 4-1]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6
[그림 4-2] 구조모형 102
[그림 4-3] 팬텀변수 활용 매개분석 결과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