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문제 16
3. 용어 정의 16
1) 긴장형두통(Tension-type Headache; TTH) 16
2) 스트레스 17
3) 중년직장여성 17
Ⅱ. 이론적 배경 19
1. 긴장형두통에 대한 이해 19
1) 긴장형두통에 대한 분류 및 특성 19
2) 긴장형두통의 원인·동반질병·치료에 대한 이해 22
2.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26
1) 스트레스의 개념 및 원인 26
2)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29
3. 중년기 직장여성의 스트레스와 긴장형두통 32
1) 중년기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32
2) 스트레스와 긴장형두통 35
4. 선행연구 38
Ⅲ. 연구 방법 51
1. 현상학적 연구방법 51
2. 연구 참여자 55
1) 연구 참여자의 선정 55
2) 연구 참여자의 배경 57
3. 자료수집 및 분석 절차 63
1) 자료수집 절차 63
2) 면담 질문 목록 64
3) 자료 분석 절차 65
4. 연구 과정의 평가 66
Ⅳ. 연구 결과 68
1.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분석 결과 78
주제군 1) 과도한 몰입에 의한 심신 소진 78
주제군 2) 일 자체에 대한 심한 부담 79
주제군 3) 자신과 타인의 부정적 평가에 민감 82
주제군 4) 불안정한 상태가 되면 두통발생 83
주제군 5) 두통의 합병증으로 인한 심한 고통 86
주제군 6) 사회적 상황에서 관계의 부적응 90
주제군 7) 대인관계에서 표현의 어려움 93
주제군 8) 일에 대한 생각과 행동이 경직 98
주제군 9) 원가족의 영향에 의한 위축된 성격 101
주제군 10) 지속적으로 두통 치료를 시도 104
주제군 11) 두통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에 의존 106
주제군 12) 유연한 사고방식으로 삶의 변화를 시도 110
주제군 13) 두통 탈피의 행동적 방안 모색 112
주제군 14) 두통과 삶에 위로가 된 지지적 관계 117
2. 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 122
Ⅴ. 논의 131
1. 긴장형두통이 있는 중년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요인 131
2. 긴장형두통이 있는 중년직장여성의 스트레스 특성 135
3. 긴장형두통이 있는 중년직장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141
Ⅵ. 결론 및 제언 146
1. 요약 및 결론 146
2. 상담학적 함의 149
3. 연구의 성과 및 의의 152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53
참고문헌 155
Abstract 195
부록 197
〈부록 1〉 한국형 두통영향검사지(Korean HIT-6) 197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198
〈표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56
〈표 2〉 도출된 구성의미, 주제, 주제군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