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 요약
목차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2. 연구 문제 22
3. 용어의 정의 23
Ⅱ. 이론적 배경 26
1.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26
가.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26
나. 고등학생 진로상담 필요성 27
다.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현황 29
라. 고등학생에게 필요한 진로상담의 방향 31
2. 진로구성주의 33
가. 진로상담 이론의 발달 33
나. 진로구성주의 이론 45
다. 진로구성상담 52
라. My Career Story(MCS)와 한국형 My Career Story(K-MCS) 65
3. 진로구성상담 실행연구 74
4. 진로관련변인 78
가. 진로적응성 78
나. 진로정체감 85
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90
라. 진로스트레스 94
마. 진로관련변인 간 관계 98
Ⅲ. 프로그램 개발 103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103
가. 프로그램 개발 모형 103
나.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절차 107
2. 프로그램 기획 108
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확인 108
나. 요구분석 110
다.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확립 112
3. 프로그램 구성 114
가. 프로그램 이론적 요인과 구안 방향 114
나. MCS 번안 및 K-MCS 구성 116
다. 프로그램 구성 요소 117
라. 예비연구 프로그램 구성 118
마. 윤리적 고려 120
바. 예비연구 실시 및 평가 121
사. 전문가 점검 및 반영 125
아.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최종 구성 127
4. 프로그램 실시 130
5. 프로그램 평가 131
Ⅳ. 연구방법 132
1. 연구대상 132
2. 실험설계 133
3. 연구도구 133
가. 처치도구 134
나. 평가도구 135
4. 자료분석 139
가.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139
나. 참여자 평가 분석 140
Ⅴ. 연구결과 141
1.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검증 141
가. 사전 측정값의 동질성 141
나. 프로그램 효과 검증 142
다. 질적 자료 검증 150
2. 참여자 평가 결과 161
가. 양적 평가 결과 161
나. 질적 평가 결과 163
Ⅵ. 논의 및 결론 167
1. 논의 167
가.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논의 167
나.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논의 169
2. 결론 177
가. 요약 및 결론 177
나.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79
다. 제한점 및 제언 180
참고문헌 183
Abstract 209
부록 212
〈부록 1〉 212
〈부록 2〉 213
〈부록 3〉 214
〈부록 4〉 215
〈부록 5〉 216
〈부록 6〉 217
〈부록 7〉 218
〈부록 8〉 235
〈부록 9〉 238
〈부록 10〉 239
〈부록 11〉 246
〈표 1〉 진로구성상담 단계 특징 53
〈표 2〉 진로구성인터뷰(CCI) 64
〈표 3〉 MCS와 K-MCS의 비교 68
〈표 4〉 국내외 진로구성상담의 실행연구 77
〈표 5〉 초중고 진로적응성 프로그램 선행연구 80
〈표 6〉 고등학생 진로성숙도 향상 프로그램 선행연구 81
〈표 7〉 고등학생 진로청체감 프로그램 선행연구 87
〈표 8〉 고등학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프로그램 선행연구 92
〈표 9〉 고등학생 진로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선행연구 96
〈표 10〉 고등학교 진로교육 영역별 성취기준 115
〈표 11〉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안 방향 115
〈표 12〉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요소 118
〈표 13〉 예비프로그램 구성 내용 119
〈표 14〉 예비프로그램 평가결과 123
〈표 15〉 예비프로그램 적용 결과 수정 및 보완사항 124
〈표 16〉 전문가 의견에 따른 수정보완 사항 126
〈표 17〉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최종 구성 127
〈표 18〉 연구대상 132
〈표 19〉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험설계 133
〈표 20〉 진로적응성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136
〈표 21〉 진로정체감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136
〈표 22〉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137
〈표 23〉 진로스트레스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138
〈표 24〉 집단 간 성별 분포 동질성 141
〈표 25〉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정 141
〈표 26〉 측정시기별 평균과 표준편차 142
〈표 27〉 진로적응성 효과검정 143
〈표 28〉 진로적응성 집단 내 효과검정 144
〈표 29〉 진로정체감 효과검정 145
〈표 30〉 진로정체감 집단 내 효과검정 146
〈표 31〉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효과검정 146
〈표 32〉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집단 내 효과검정 147
〈표 33〉 진로스트레스 효과검정 (GEE) 148
〈표 34〉 진로스트레스 개체 내 효과검정 149
〈표 35〉 프로그램 효과성 질적 자료 (진로적응성) 151
〈표 36〉 프로그램 효과성 질적 자료 검증 (진로정체감) 153
〈표 37〉 프로그램 효과성 질적 자료 검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157
〈표 38〉 프로그램 효과성 질적 자료 검증 (진로스트레스) 159
〈표 39〉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결과 162
〈표 40〉 진로영역 만족도 평가 결과 163
[그림 1]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체계 37
[그림 2] 진로구성상담 모형 58
[그림 3] 김창대 외(2011)의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 106
[그림 4]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 108
[그림 5]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117
[그림 6] 실험설계에 따른 프로그램 처치 내용 134
[그림 7] 진로적응성 효과 검정 144
[그림 8] 진로정체감 효과 검정 145
[그림 9]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효과 검정 147
[그림 10] 진로스트레스 효과 검정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