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Ⅰ. 서론 15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5
1.2. 연구문제 20
Ⅱ. 이론적 배경 21
2.1. 언어학습 신념 21
2.1.1. 언어학습 신념의 특성 21
2.1.2. 언어학습 신념 연구에 대한 접근 23
2.1.3. 언어학습 신념의 분류 24
2.1.4. 언어학습 신념 선행연구 26
2.2. 언어학습 신념 관련 요인 40
2.2.1. 동기 40
2.2.2. 불안 44
2.2.3. 학습전략 45
2.2.4. 자기조절과 자기효능감 48
2.3. 국내연수와 해외연수 프로그램의 외국어 습득 효과 52
2.3.1. 국내연수 프로그램 효과 52
2.3.2. 해외연수 프로그램 효과 54
2.3.3. 국내연수와 해외연수 프로그램 효과 비교 58
Ⅲ. 연구방법 60
3.1. 연구설계 60
3.2. 연구대상 62
3.3. 단기 영어 프로그램 개요 65
3.4. 측정도구 68
3.4.1. 학습자 배경 및 학습성과에 대한 기대 68
3.4.2. 양적연구 측정도구 68
3.4.3. 질적연구 측정도구 70
3.5. 자료수집과 분석 71
3.5.1. 양적 자료의 수집과 분석 71
3.5.2. 질적 자료의 수집과 분석 72
3.5.3. 집단분류 73
Ⅳ. 연구결과 75
4.1. 영어 능숙도 변화 분석 75
4.2. 언어학습 신념 변화 분석 80
4.2.1. 언어학습의 어려움 80
4.2.2. 외국어 적성 84
4.2.3. 언어학습의 본질 89
4.2.4. 학습과 의사소통 전략 93
4.2.5. 동기와 기대 97
4.2.6. 언어학습 신념 차이분석 100
4.3. 학습일기 분석 113
4.3.1. 언어학습의 어려움 114
4.3.2. 외국어 적성 120
4.3.3. 언어학습의 본질 122
4.3.4. 학습과 의사소통 전략 126
4.3.5. 동기와 기대 130
Ⅴ. 논의 및 결론 134
5.1. 논의 134
5.1.1. 영어 능숙도 변화 134
5.1.2. 언어학습 신념 변화 136
5.2. 결론 152
5.2.1. 요약 152
5.2.2. 시사점 154
5.2.3. 연구의 한계 157
5.2.4. 후속 연구 158
참고문헌 160
부록 14
〈부록 1〉 국내연수 프로그램 일정별 교육내용 181
〈부록 2〉 해외연수 프로그램 전체 일정 184
〈부록 3〉 학습자 배경 및 학습성과 기대 설문지 185
〈부록 4〉 언어학습 신념 설문지 186
〈부록 5〉 사전 토익점수와 평점 간 다중공선성 검정 188
〈부록 6〉 공분산분석을 위한 통계적 가정 검정 189
Abstract 195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3
〈표 2〉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성과에 대한 기대 64
〈표 3〉 단기 영어 프로그램 개요 65
〈표 4〉 집단분류 73
〈표 5〉 국내연수와 해외연수 집단의 사전 및 사후 토익점수 기술통계 75
〈표 6〉 학습환경 집단간 토익점수 차이 독립표본 t-검정 76
〈표 7〉 국내연수와 해외연수 집단의 교정된 사후 토익점수 77
〈표 8〉 교정된 사후 토익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 77
〈표 9〉 학습환경 집단내 토익점수 변화 대응표본 t-검정 78
〈표 10〉 영어 수준별 집단내 토익점수 변화 대응표본 t-검정 79
〈표 11〉 언어학습의 어려움 영역 신념 변화 기술통계 80
〈표 12〉 외국어 적성 영역 신념 변화 기술통계 84
〈표 13〉 언어학습의 본질 영역 신념 변화 기술통계 89
〈표 14〉 학습과 의사소통 전략 영역 신념 변화 기술통계 93
〈표 15〉 동기와 기대 영역 신념 변화 기술통계 97
〈표 16〉 학습환경 집단간 언어학습 신념 차이 독립표본 Mann-Whitney U 검정 100
〈표 17〉 영어 능숙도 변화 집단간 언어학습 신념 차이 독립표본 Mann-Whitney U 검정 102
〈표 18〉 기타 언어학습 신념 문항의 집단간 차이 독립표본 Mann-Whitney U 검정 104
〈표 19〉 학습환경 집단내 언어학습 신념 변화 대응표본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105
〈표 20〉 영어 능숙도 변화 집단내 언어학습 신념 변화 대응표본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107
〈표 21〉 기타 언어학습 신념 문항의 집단내 변화 대응표본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110
〈표 22〉 학습환경 집단간 언어학습 신념 변화 차이가 큰 문항 111
〈표 23〉 영어 능숙도 변화 집단간 언어학습 신념 변화 차이가 큰 문항 112
〈표 24〉 학습일기 코딩 참조 113
〈표 25〉 집단별 언어학습의 어려움 코딩 참조 114
〈표 26〉 집단별 외국어 적성 코딩 참조 120
〈표 27〉 집단별 언어학습의 본질 코딩 참조 122
〈표 28〉 집단별 학습과 의사소통 전략 코딩 참조 126
〈표 29〉 집단별 동기와 기대 코딩 참조 131
〈그림 1〉 학습자 신념 연구를 위한 이론적 체계 26
〈그림 2〉 메타인지와 동기를 통합하는 자기조절 순환 모형 48
〈그림 3〉 수렴적 병렬설계 연구모형 61
〈그림 4〉 자료의 수집과 분석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