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3
1.1. 연구의 필요성 13
1.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16
1.2.1. 연구의 목적 16
1.2.2. 논문의 구성 17
Ⅱ. 이론적 배경 18
2.1. 듣기이해(Listening Comprehension) 18
2.1.1. 듣기이해 발달 단계 18
2.1.2. 듣기이해 접근방법과 듣기 유형 19
2.2. 듣기 교수학습 모형 21
2.2.1. 듣기지도의 원리 21
2.2.2. 듣기지도 과정 24
2.2.3. 학습자 수준별 지도방안 33
2.2.4. 학습자 연령층에 따른 지도방안 36
2.3. 듣기 활동 40
2.3.1. 섀도잉(Shadowing) 40
2.3.2. 듣기전략 훈련 44
2.3.3. 발음 연습(Phonological awareness) 45
2.3.4. 동영상(영화, 비디오 클립 등) 시청 46
2.3.5. 받아쓰기 48
2.3.6. 역할극(Role-play) 50
2.4. 선행연구 분석 51
Ⅲ. 연구 방법 58
3.1. 문헌 연구 59
3.2. 수업모형 초안 개발 59
3.3. 델파이 연구 61
3.3.1. 델파이 1차 조사 62
3.3.2. 델파이 2차 조사 63
3.3.3. 모형의 현장 적합성 검토 64
3.4. 타당도 분석방법 66
Ⅳ. 연구 결과 67
4.1. 초·중등 듣기지도 1차 모형 개발 67
4.1.1. 초등 1차 모형 개발 67
4.1.2. 중등 1차 모형 개발 71
4.2.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74
4.2.1. 1차 모형에 대한 전문가 평가 결과 분석 74
4.2.2. 초등 2차 모형 개발 78
4.2.3. 중등 2차 모형 개발 84
4.3.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86
4.3.1. 2차 모형에 대한 전문가 평가 결과 분석 86
4.3.2. 초등 3차 모형 개발 89
4.3.3. 중등 3차 모형 개발 95
4.4. 모형의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와 최종 모형 도출 97
4.4.1. 모형의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 분석 97
4.4.2. 최종 초등 듣기지도 모형 103
4.4.3. 최종 중등 듣기지도 모형 109
Ⅴ. 논의 및 결론 112
Ⅵ. 모형 활용방안과 제언 117
참고문헌 121
부록 12
부록 1. 델파이 1차 조사 설문지 136
부록 2. 델파이 2차 조사 설문지 142
부록 3. 현장 적합성 검토 설문지(초등) 150
부록 4. 현장 적합성 검토 설문지(중등) 154
Abstract 157
〈표 Ⅱ-1〉 청자의 이해 확인 방법 23
〈표 Ⅱ-2〉 섀도잉의 유형 41
〈표 Ⅱ-3〉 듣기전략 분류 45
〈표 Ⅱ-4〉 듣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관련 선행연구 분석 52
〈표 Ⅲ-1〉 델파이 1차 설문지 구성 및 내용 62
〈표 Ⅲ-2〉 1차 모형 검토 참여 전문가 정보 63
〈표 Ⅲ-3〉 델파이 2차 설문지 구성 및 내용 64
〈표 Ⅲ-4〉 현장 적합성 검토 설문지 구성 및 내용 65
〈표 Ⅲ-5〉 3차 모형 검토 참여 전문가 정보 65
〈표 Ⅳ-1〉 초등 듣기지도 1차 모형 68
〈표 Ⅳ-2〉 중등 듣기지도 1차 모형 72
〈표 Ⅳ-3〉 1차 모형의 내용 타당도 검증결과 74
〈표 Ⅳ-4〉 델파이 1차 개방형 질문 결과 및 수정·보완 사항 76
〈표 Ⅳ-5〉 초등 2차 3~4학년 모형 79
〈표 Ⅳ-6〉 초등 2차 5~6학년 모형 82
〈표 Ⅳ-7〉 중등 2차 모형 84
〈표 Ⅳ-8〉 2차 모형의 내용 타당도 검증결과 87
〈표 Ⅳ-9〉 델파이 2차 개방형 질문 결과 및 수정·보완 사항 87
〈표 Ⅳ-10〉 초등 3차 3~4학년 모형 89
〈표 Ⅳ-11〉 초등 3차 5~6학년 모형 92
〈표 Ⅳ-12〉 중등 3차 모형 95
〈표 Ⅳ-13〉 초등 듣기지도 모형의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 98
〈표 Ⅳ-14〉 중등 듣기지도 모형의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 99
〈표 Ⅳ-15〉 모형개선을 위한 주요 의견 및 반영 사항 101
〈표 Ⅳ-16〉 초등 3~4학년 최종 모형 103
〈표 Ⅳ-17〉 초등 5~6학년 최종 모형 106
〈표 Ⅳ-18〉 중등 최종 모형 109
[그림 Ⅱ-1] EFL 학습자의 듣기 발달 단계 18
[그림 Ⅱ-2] 받아쓰기의 과정 48
[그림 Ⅲ-1] 듣기중심 초·중등 영어 수업모형 개발 연구 절차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