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현장 맥락에 기초한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을 정의하고, 주제중심융합수업 실행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 고등학교에서 주제중심융합수업을 진행했거나, 교육과정 업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 26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회수된 자료들을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에 활용하였고, SPSS 29.0과 엑셀을 통해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를 산출하고, IPA 매트리스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정리해 본 주제중심융합수업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문제해결력과 창의적인 생각을 유도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학생의 삶 또는 진로와 연계된 주제로 여러 교과가 연계 융합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배움중심의 프로젝트 수업 또는 학생 스스로 탐구하는 수업' 이라는 개념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이는 학습자의 삶과 연계하여 탐구와 개념 기반의 깊이 있는 학습으로 전환하고 학생참여형·주도형 수업을 권장하는 2022 개정교육과정의 지향점과도 같다. 그리고 주제중심융합수업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부족한 상황에서 학교 현장 맥락에 부합하는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일반 고등학교 학교 자율교육과정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원활한 실행을 위한 개선 및 고려할 사항으로는 융합형 교사 협의체와 같은 동료성에 기반을 둔 협의 문화조성이었으며, 학교의 관리자, 동료 교사 그리고 학생들에게 '융합' 의 필요성과 의미를 확실하게 안내하고 설득하는 과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자발적인 전문성 획득이 필요하였다. 또한 학생이 중심이 되어 함께 만들어가는 융합프로젝트 교육과정, 민주적 학교경영, 그리고 새로운 융합형 행정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융합'이 강조되고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안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교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도출한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과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을 위한 활성화 방안은 실질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일반 고등학교 현장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안내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주제중심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일반 고등학교 학교 자율교육과정 주제중심융합수업이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형식적인 융합이 아닌 심도 있고 유의미한 주제중심융합수업이 운영될 수 있도록 충분하게 단위 학교를 지원하고 더불어 교육적 차원의 최소한의 질 관리도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