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3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3
2. 연구 문제 19
Ⅱ. 이론적 배경 20
1. 학교 교육의 변화 20
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20
나. 교육과정 자율화와 학교 자율교육과정 27
2. 융합 교육 34
가. 융합 교육의 정의 34
나. 교육과정 융합방식과 절차모형 37
다. 해외의 융합교육 43
3. 주제중심융합수업 49
가.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이론적 토대 49
나.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50
다. 일반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실행의 장애요인 55
Ⅲ. 연구 방법 57
1. 연구 대상 57
2. 연구 도구 59
3. 연구 절차 61
가. 예비면담 62
나. 본 조사 63
4. 자료 분석 65
Ⅳ. 연구 결과 68
1. 제1차 델파이 설문 결과분석 68
가.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 68
나.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에 대한 개선 및 고려할 사항 73
2. 제2차 델파이 설문지 분석 88
가. 일반 고등학교 학교 현장의 맥락에서 인식하는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 88
나.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에 대한 개선점 및 고려할 사항 91
3. 제3차 델파이 설문지 분석 97
가. 일반고등학교 학교 현장의 맥락에서 인식하는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 97
나.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에 대한 개선점 및 고려할 사항 104
Ⅴ. 논의 및 결론 110
1. 논의 110
가.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 110
나.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 활성화 방안 117
2. 시사점 129
3. 결론 및 제언 132
Ⅵ. 참고문헌 134
부록 12
제1차 델파이 설문지 148
제2차 델파이 설문지 150
제3차 델파이 설문지 153
Abstract 157
〈표 Ⅱ-1〉 2015 개정교육과정 vs 2022 개정교육과정 비교 22
〈표 Ⅱ-2〉 일반 고등학교 학사운영체제의 변화 23
〈표 Ⅱ-3〉 2022 총론에 제시된 핵심역량 25
〈표 Ⅱ-4〉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 28
〈표 Ⅱ-5〉 일반 고등학교 학교 자율교육과정 운영사례 33
〈표 Ⅱ-6〉 교육과정 설계방식 및 융합방식 38
〈표 Ⅱ-7〉 교육과정 기반 설계 모형의 절차 41
〈표 Ⅱ-8〉 주제 기반 설계 모형의 절차 42
〈표 Ⅱ-9〉 에스토니아 융합교육의 주제 44
〈표 Ⅱ-10〉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 시간표 예시 54
〈표 Ⅱ-11〉 주제중심융합수업 세부 운영 주제 54
〈표 Ⅲ-1〉 연구 대상 패널 최종 응답자 현황 58
〈표 Ⅲ-2〉 제1차 델파이 설문 내용 59
〈표 Ⅲ-3〉 제2차 델파이 설문 내용 60
〈표 Ⅲ-4〉 제3차 델파이 설문 내용 60
〈표 Ⅲ-5〉 연구의 절차와 연구내용 61
〈표 Ⅳ-1〉 주제중심융합수업이란 무엇인가요?'에 대한 전문가들의 응답 68
〈표 Ⅳ-2〉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에 대한 의미 단위 내용 분석 결과 (N=26) 69
〈표 Ⅳ-3〉 주제중심융합수업의 형태 70
〈표 Ⅳ-4〉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수업 주제 71
〈표 Ⅳ-5〉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수업 방식 71
〈표 Ⅳ-6〉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수업 목표 72
〈표 Ⅳ-7〉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운영실태에 대한 응답 73
〈표 Ⅳ-8〉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실행의 장애요인 해결방안 84
〈표 Ⅳ-9〉 일반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을 위한 고려할 사항 87
〈표 Ⅳ-10〉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 형태)에 대한 동의 정도 88
〈표 Ⅳ-11〉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 주제)에 대한 동의 정도 89
〈표 Ⅳ-12〉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 방식)에 대한 동의 정도 90
〈표 Ⅳ-13〉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 목표)에 대한 동의 정도 90
〈표 Ⅳ-14〉 주제중심융합수업의 장애요인 해결방안 및 고려할 사항 92
〈표 Ⅳ-15〉 주제중심융합수업운영에 고려할 사항의 중요정도와 실행수준 차이 분석 94
〈표 Ⅳ-16〉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형태)에 대한 평균·표준편차·타당도 97
〈표 Ⅳ-17〉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 주제)에 대한 평균·표준편차·타당도 99
〈표 Ⅳ-18〉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방식)에 대한 평균·표준편차·타당도 100
〈표 Ⅳ-19〉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수업 목표)에 대한 평균·표준편차·타당도 101
〈표 Ⅳ-20〉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 2차, 3차 설문결과 비교 103
〈표 Ⅳ-21〉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 개선 및 고려할 사항 2차, 3차 설문결과 비교 105
〈표 Ⅳ-22〉 평균 순으로 본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에 대한 개선 및 고려할 사항 106
〈표 Ⅳ-23〉 적용 대상별로 살펴본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에 대한 개선 및 고려할 사항 108
〈표 Ⅳ-24〉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 활성화 방안 및 하위영역 109
〈표 Ⅴ-1〉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주제중심융합수업의 개념 111
[그림 1] 역량함양을 위한 교과교육의 강조점 24
[그림 2] 학교 자율교육과정 운영 방향 31
[그림 3] 융합 방식 모형 39
[그림 4] 주제중심융합수업 운영에 고려할 사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