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9 년에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현대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의 진화에 따라 1949 년부터 현재까지의 현대 중국은 1949 년부터 1978 년, 1978 년부터 2000 년, 그리고 2000 년부터 현재까지 세 개의 시기로 구분된다. 70 년 동안, 현대 중국의 경관은 농업 및 산업 문명에서 현재의 세계화된 생태 문명 시대로의 전환을 거치며, 인류 및 자연사의 모든 유·무형적인 흔적을 보존해왔다. 경관언어와 이미지 개념은 경관의 해석, 인식, 그리고 존재 사이의 유·무형적 관계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 중국 경관 발전의 맥락에서 인간과 토지의 유·무형적 측면 사이의 역동적인 역사적 관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전해왔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 사례 연구, 학제간 연구로 진행되었다. 경관언어와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수행하여 중국 현대 경관의 진화 과정을 정성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 중국의 경관언어와 이미지는 맥락 수준, 원형 수준, 부호 수준, 미학적 수준이라는 네 가지 수준의 이론적 틀로 구성된다.
본 회고적 연구는 현대 중국 경관에서 경관의 언어를 통한 이미지의 진화를 탐구한다. 맥락 수준에서 현대 중국 사회는 소련 모델(1949-1978 년), 도시미화운동(1978-2000 년)을 거쳐 생태계획(2000 년-현재)에 이르렀다. 원형 수준에서는 산수화와 마르크스주의, 기하학에서부터 다원주의로 전환되었다. 부호 수준에서의 상징적 표현은 자연, 역사 및 과거, 권력에서 자연, 역사 및 생산에 이르는 풍경 대화를 포함한다. 70 년에 걸친 시간 동안, 미학적 수준에서의 이미지는 사회주의 정치적 의도를 반영하는 생산적이고 시적인 이미지에서 서양의 건축 성과를 맹목적으로 모방하는 증상적 이미지로 전환되었다. 전 세계적 및 국가적인 맥락이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경관언어는 다양한 관점과 주제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채택하고, 특히 자연과의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둔 해석에 참여할 것이다. 이미지 관점을 통해 볼 때, 중국 경관의 미래 경향은 산수화를 연상시키는 수직적 이미지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물질과 영적인 측면, 존재와 인식, 해석과 경험과 같은 다양한 측면을 통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