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1.1. 연구의 배경 14
1.1.2. 연구의 목적 15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6
1.2.1. 연구의 범위 16
1.2.2. 연구의 방법 16
1.3. 선행연구 고찰 19
1.3.1. 도시계획 분야 19
1.3.2. 토목 분야 19
1.3.3. 건축 분야 20
제2장 도시 물환경에 대한 이론 고찰 22
2.1. 도시 물환경 22
2.2. 도시 물환경의 특징 24
2.2.1. 도시공간을 통한 물활용 24
2.2.2. 물 재활용을 위한 물 저장공간 25
2.2.3. 수생태계 보존 25
2.3. 장래 도시 물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대응의 필요성 26
2.3.1. 기후변화 26
2.3.2. 도시화 26
2.3.3. 수자원의 재활용 27
제3장 도시 물환경에 대응하는 도시건축공간 사례분석 28
3.1. 해수를 활용한 벤쿠버 컨벤션센터의 워터프론트 공간 28
3.1.1. 유휴 산업공간 재생을 통한 도시재생 28
3.1.2. 워터프론트 공간을 고려한 인공지반 구조 29
3.1.3. 물 재활용을 위한 건축물 상·하부공간 활용 30
3.2. 인공호수 조성을 통한 베를린 포츠담 광장의 공공광장 조성 32
3.2.1. 공공 수광장 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32
3.2.2.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인공호수 계획 33
3.2.3. 다목적 기능의 워터프론트 인공호수 34
3.3. 우수활용 시스템을 고려한 로테르담 수광장과 고가보행로 36
3.3.1. 도시의 지리적 특징을 고려한 방재계획 36
3.3.2. 도심 홍수 예방을 위한 Water Square 다목적 광장 36
3.3.3. 광장 연계를 통한 수자원 재활용 기능의 고가보행로 38
3.4. 물활용을 위한 도시건축공간 사례별 특성 비교분석 40
제4장 도시 물환경에 대응하는 대상지 선정 및 프로그램 도출 43
4.1. 대상지 선정과정 43
4.1.1. 인천시 상위계획 검토 43
4.1.2. 설계 대상지 현황 47
4.1.3. 선정 기준 및 근거 55
4.2. 도시 물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도출 57
4.2.1. 인천시 산업 현황 및 개발계획 57
4.2.2. 대상지의 물환경을 고려한 프로그램 도출 60
4.2.3. 소결 63
제5장 도시 물환경에 대응하는 해양생태 R&D연구단지 공간계획 64
5.1. 설계대상지 현황 64
(1) 설계대상지 개요 64
(2) 설계대상지 주변 현황 65
5.2. 도시 물환경에 대응하는 해양생태 R&D연구단지 계획 전략 67
5.2.1. 개발목표 67
5.2.2. 프로그램 규모 산정 69
5.2.3. 배치계획 전략 71
5.2.4. 도시 물활용 시스템 74
5.3. 계획안 78
5.3.1. 배치계획 78
5.3.2. 평면계획 80
5.3.3. 단면계획 93
5.3.4. 물순환 네트워크 97
5.3.5. 조감도 및 투시도 99
제6장 결론 102
참고문헌 104
ABSTRACT 107
[표 1.1] 각 분야별 선행연구 분석 20
[표 2.1] 물환경 종합관리계획 23
[표 2.2] 도시공간 요소별 물 분담량 24
[표 3.1] 사례별 공간계획 특성 40
[표 4.1] 인천시 8대 전략사업 육성계획 58
[표 4.2] 인천시 연구개발(R&D) 활성화 사업 59
[표 4.3] 지역별 국내 해양바이오 업체 현황 61
[표 5.1] 설계 대상지 개요 64
[표 5.2] 프로그램 규모 및 내용 69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8
[그림 3.1] 벤쿠버 컨벤션센터 배치도 29
[그림 3.2] 벤쿠버 컨벤션센터 해수흐름 모식도 31
[그림 3.3] Potsdamer Platz 1989년(좌측), 2023년(우측) 지도 33
[그림 3.4] Potsdamer Platz 배치도 34
[그림 3.5] Potsdamer Platz 우수흐름 모식도 35
[그림 3.6] Water Square 우수흐름 평면 모식도 37
[그림 3.7] Water Square 우수흐름 단면 모식도 38
[그림 3.8] 고가보행로 우수흐름 모식도 39
[그림 4.1] 광역적 도시공간 구조 맥락 44
[그림 4.2] 인천형 산업단지 연계발전 방향 46
[그림 4.3] 인천시 토지이용현황 48
[그림 4.4] 인천시 도로체계 현황 49
[그림 4.5] 인천시 지하철 노선 현황 50
[그림 4.6] 인천시 산업단지 현황 51
[그림 4.7] 인천시 공원 및 녹지 현황 52
[그림 4.8] 인천시 항구 및 포구 현황 53
[그림 4.9] 연구소 내 물 사용 비율 62
[그림 5.1] 대상지 주변현황 분석도 66
[그림 5.2] 프로그램 도출 다이어그램 68
[그림 5.3] 공간배치 전략 72
[그림 5.4] 입체 보행로 배치 전략 73
[그림 5.5] 건물과 도시공간의 물 연계 모식도 74
[그림 5.6] 개방된 물 이동경로 모식도 75
[그림 5.7] 지하공간 활용방안 모식도 76
[그림 5.8] 배치도 78
[그림 5.9] 해양생태 홍보관 1층 평면도 80
[그림 5.10] 해양생태 홍보관 2층 평면도 81
[그림 5.11] 컨벤션홀 1층 평면도 82
[그림 5.12] 공유 PM센터 1층 평면도 83
[그림 5.13] 스마트 온실 1층 평면도 84
[그림 5.14] 도시마켓 1층 평면도 85
[그림 5.15] 체육센터 1층 평면도 86
[그림 5.16] 체육센터 2층(왼쪽), 3층(오른쪽) 평면도 87
[그림 5.17] 해양바이오·생태연구동 지하 1층 평면도 89
[그림 5.18] 해양바이오·생태연구동 1층 평면도 90
[그림 5.19] 해양바이오·생태연구동 2층 평면도 91
[그림 5.20] 연구 부속시설 1층 평면도 92
[그림 5.21] 해양생태 홍보관 단면도 93
[그림 5.22] 해양생태 R&D연구동 단면도 94
[그림 5.23] 해양생태 R&D 연구단지 종단면도 95
[그림 5.24] 해양생태 R&D 연구단지 횡단면도 96
[그림 5.25] 해양생태 연구단지 물환경 네트워크 98
[그림 5.26] 조감도 99
[그림 5.27] 광장 투시도 99
[그림 5.28] 진입부근 투시도 100
[그림 5.29] 메인가로 투시도 100
[그림 5.30] 해양생태 홍보관 내부 투시도 101
[그림 5.31] 연구동 내부 로비 투시도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