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극한 강수 사상의 발생, 심각한 폭우와 홍수의 가능성, 가뭄의 빠른 확산과 관련이 있고, 개발도상국의 식량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식량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해충과 병의 발병과 연계된다. 이러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농민 개개인의 능력은 위험에 대한 지각, 개인의 관심과 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들의 경력적응성은 성장신념, 그릿, 회복탄력성과 같은 여러 심리적 요인들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소작농민들은 기후변화와 날씨 변동에 의한 영향에 쉽게 노출되어 취약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소작농민들의 가계 소득과 웰빙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농업 분야에서 소작농민들의 적응성 향상과 손실 경감을 위해 다양한 조치가 이루어졌지만, 낮은 식량 생산과 식량 공급의 불안정성은 지방 소작농민들에게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농업 분야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소작농민들의 심리적 적응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불충분한 것은 현명하고 성공적으로 변화에 적응하고 기후변화의 영향력을 경감하며 식량 생산의 지속성을 높이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과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탄자니아 소작농민들의 성장신념, 그릿(노력의 지속, 흥미 유지), 회복탄력성이 그들의 경력적응성(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탄자니아의 302 명의 소작농민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 경력적응성, 회복탄력성, 노력의 지속의 평균이 중간 수준으로 나타난 성장신념, 흥미유지, 그릿의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표준편차의 경우, 회복탄력성, 그릿, 노력의 지속, 경력적응성에 비해 흥미 유지와 성장신념이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력적응성은 성장신념, 그릿, 회복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신념은 그릿 및 회복탄력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그릿과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중다회귀분석 모형에는 성장신념, 그릿, 회복탄력성이 독립변인으로 설정되었다. 분석결과, 성장신념과 회복탄력성은 경력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그릿이 경력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중다회귀분석 모형에서는 독립변인으로 성장신념, 그릿의 두 하위요인(노력의 지속, 흥미 유지), 회복탄력성이 독립변인으로 설정되었다. 분석결과, 성장신념, 노력의 지속, 회복탄력성은 경력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흥미 유지는 경력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NGO 및 관련 기관이 소작농민의 성장신념, 노력의 지속,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고 기후 변화 대응과 식량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워크샵을 제공해줄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소작농민들의 성장신념을 높이기 위해 성장신념 메시지를 사용하는 성장신념 처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전략의 사용, 단기 및 장기적 목표 수립, 흥미의 강화, 긍정정서의 활용과 같은 노력의 지속을 위한 처지는 소작농민들 간의 학습, 상호작용 및 협력을 촉진시키고 소작농민들 개개인의 노력의 지속 수준을 신장시킬 것이다. 또한, 토론, 역할극, 체험활동을 활용하는 프로그램과 같은 회복탄력성 처지는 소작농민들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