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1.1. 연구배경 및 목적 10
1.2. 연구범위 및 방법 12
1.3. 연구 흐름도 13
제2장 도시재생과 도시 중심부의 형태 14
2.1. 도시재생 개념과 중국의 도시재생 14
2.1.1. 도시재생의 정의 14
2.1.2. 중국의 도시재생 관련 법령 및 연구 15
2.1.3. 중국의 도시재생 관련 정책 17
2.2. 도시 중심부의 형태 19
2.2.1. 도시에서 중심의 개념 19
2.2.2. 도시 중심부의 형태와 도시 발전 20
2.3. 중심부와 연계된 도시정비 사례 33
2.3.1. 파리 노트르담 성당과 퐁피두센터 33
2.3.2. 밀라노대성당 광장과 스포르체스코성 36
2.4. 소결 42
제3장 청두시 도시분석 44
3.1. 청두시 도시 중심부와 도시구조 변화 44
3.1.1. 청두시 도시 중심부와 도시구조 변화 44
3.2. 따츠쓰 가로 49
3.2.1. 도시 중심부와 따츠쓰 지구의 관계 50
3.2.2. 따츠쓰 가로의 역사와 형태 변천 51
3.3. 관자이 골목 54
3.3.1. 도시 중심부와 관자이(寬窄)골목의 관계 54
3.3.2. 관자이(寬窄)골목의 역사와 형태 변천 55
3.4. 따츠쓰 가로과 관자이 골목의 비교분석 63
3.5. 소결 65
제4장 청두시 도시 정비 사례 분석 66
4.1. 따츠쓰 가로 분석 66
4.1.1. 따츠쓰 가로의 형성배경 및 과정 66
4.1.2. 따츠쓰 가로의 배치 분석 68
4.1.3. 따츠쓰 가로의 건축형태 분석 70
4.1.4. 따츠쓰 가로정비의 방법적 접근 73
4.2. 관자이 골목 분석 74
4.2.1. 관자이 골목의 형성배경 및 과정 75
4.2.2. 관자이 골목의 배치 분석 76
4.2.3. 관자이 골목의 건축 형태 분석 78
4.2.4. 관자이 골목 정비방법 분석 83
4.3. 소결 84
제5장 결론 85
참고문헌 87
Abstract 90
표1.1. 연구흐름도 13
표2.1. 중국 역사문화 유산 보호에 관한 법령 16
표3.1. 고대 청두의 도시 구조 변천 46
표3.2. 근대 청두의 도시 구조 변천 49
표3.3. 따츠쓰 가로과 관자이 골목 비교 64
그림2.1. 기원전 1세기 파리 21
그림2.2. 12세기 파리 22
그림2.3. 14세기 파리 23
그림2.4. 17세기 파리 24
그림2.5. 19세기 파리 25
그림2.6. 기원전 1세기 밀라노 26
그림2.7. 4세기 밀라노 27
그림2.8. 1162년 밀라노 28
그림2.9. 1572년 밀라노 30
그림2.10. 1830년 밀라노 31
그림2.11. 1950년 밀라노 32
그림2.12. 시테섬의 노트르담 성당과 퐁피두 센터의 관계 34
그림2.13. 시테섬의 노트르담 성당과 퐁피두 센터의 전경 35
그림2.14. 1726년이탈리아 밀라노 지도[원문불량;p.28] 37
그림2.15. 1870년이탈리아 밀라노 지도 38
그림2.16. 19세기 이탈리아 밀라노 지도 39
그림2.17. 1889년 이탈리아 밀라노 지도 41
그림2.18. 시테섬의 노트르담 성당과 퐁피두 센터의 전경 42
그림2.19. 스포르체스코 성에서 바라본 밀라노 대성당 43
그림3.1. 1920년대 청두시 지도 47
그림3.2. 1949년 청두시 지도 48
그림3.3. 따츠쓰 가로 위치 50
그림3.4. 도시 중심부와 따츠쓰 가로의 관계 50
그림3.5. 청 가경(嘉庆) 21년(1816년) 따츠쓰 53
그림3.6. 따츠쓰 구역 전경 54
그림3.7. 관자이 골목 위치 55
그림3.8. 도시중심부와 관자이 골목의 관계 55
그림3.9. 도시중심부 주요 장소 55
그림3.10. 청나라 시기 청두 지도(만성) 56
그림3.11. 300년 관자이 골목의 위치(소성) 58
그림3.12. 청나라 만성 중의 관자이 골목의 위치 59
그림3.13. 1920년대 관자이 골목의 위치와 형태 60
그림3.14. 1980년대 관자이 골목의 위치과 형태 61
그림3.15. 현재 관자이 골목의 위치과 형태 62
그림3.16. 관자이 골목 전경 62
그림4.1. 따츠쓰 역사문화가로 보호 계획 67
그림4.2. 따츠쓰 구역의 거리 배치 69
그림4.3. 따츠쓰 구역의 평면도 70
그림4.4. 따츠쓰 구역 광장의 바닥 71
그림4.5. 건물 입면 72
그림4.6. 따츠쓰 상업지역의 지붕 계면 73
그림4.7. 따츠쓰가로 정비 개념도[원문불량;p.65] 74
그림4.8. 재생 전 관자이 골목의 모습 75
그림4.9. 재생 후 관자이 골목의 모습 76
그림4.10. 관자이 골목의 전체 평면도 77
그림4.11. 관자이 골목의 전체 입면도 78
그림4.12. 관자이 골목의 바닥 80
그림4.13. 벽돌 구조의 벽면 81
그림4.14. 특징적인 문 82
그림4.15. 지붕계면 82
그림4.16. 관자이골목 정비 개념[원문불량;p.74]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