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0
1.2. 연구 방법 및 범위 11
제2장 본론 13
2.1. 중심성 13
2.1.1. 중심성 의미 13
2.1.2. 정위 14
2.1.3. 정체성 15
2.1.4. 중심성과 건축, 도시 16
2.1.5. 역사 속 부조에서의 도시 핵심부의 형태 17
2.1.6. 중심성의 의미와 도시 핵 18
2.2. 역사의 현실적 관점 21
2.2.1. 역사의 관점 21
2.2.2. 도시와 역사 23
제3장 도시 핵심부의 형태 26
3.1. 형태의 특수성과 보편성 26
3.1.1. 도시 핵심부 형태의 특수성과 보편성 28
3.1.2. 도시의 중심 형태 28
3.2. 고대도시 핵심부의 형태 31
3.2.1. 고대 그리스시대 도시 중심부 형태 31
3.2.2. 고대 로마시대 도시의 중심부 형태 32
3.2.3. 중세시대 도시의 중심부 형태 33
3.3. 근대 도시의 중심부 형태의 변화 35
3.3.1. 근대의 도시 핵심부의 형태 변화 35
3.3.2. 파리 노틀담 대성당 광장의 변화 36
3.3.3. 밀라노 대성당 광장의 변화 37
3.3.4. 피렌체 레푸블리카 광장의 변화 40
3.4. 학교의 중심의 형태 41
3.4.1. 학교의 중심의 형태 42
3.4.2. 영남대학교 핵심부의 형태 44
3.4.3. 타대학교 핵심부의 형태 45
3.5. 청두대학의 확장 이전 배치 48
3.5.1. 기존 청두대학의 배치 48
3.5.2. 기존 청두대학 핵심부의 형태 51
3.6. 학교 및 대학교의 핵심부 형태 비교분석 56
제4장 청두대학과 핵심부의 형태 57
4.1. 청두대학 57
4.1.1. 영남대학교의 역사 57
4.1.1. 청두대학 캠퍼스 확장의 배경 59
4.1.2. 청두대학 확장 이후의 핵심부 형태 60
제5장 결론 74
참고문헌 76
Abstract 78
표1. 각 학교의 핵심부의 형태 비교 56
그림1. 도시를 나타내는 각종 기록 18
그림2. 사람과 도시의 관계 21
그림3. 도시 핵심부의 형태 21
그림4. El Lissitskij. Proun 25
그림5. 르네상스 도시계획 29
그림6. 오토 바그너 도시계획 30
그림7. 토니 가르니에 공업도시계획 30
그림8. 고대 그리스 도시 32
그림9. 고대로마 도시 폼페이 33
그림10. 크라코비아의 중세 주택 34
그림11. 중세 도시 핵의 배치 및 전경 34
그림12. 1800년대 이후 노틀담 대성당 광장 주변의 변화 사진 36
그림13. 1800년대 이후 노틀담 대성당 광장 배치의 변화 37
그림14. 1800년도 밀라노 대성당 광장의 변경 전후의 그림 38
그림15. 밀라노 대성당 광장 배치의 변화 39
그림16. 밀라노 도시 핵심부의 변화 과정 39
그림17. 1860년도 레푸블리카 광장 작업 전후 배치도 및 사진 41
그림18. 파냐노 올오나 초등학교 43
그림19. 영남대 전경 44
그림20. 하버드대학교 46
그림21. 영남대 전경 47
그림22. 청두대학 확장 이전 배치도 48
그림23. 청두대학 가로 광장 49
그림24. 확장 이전 청두대학 50
그림25. 청두대학 전경 51
그림26. 청두대학 기존 도서관 전경 51
그림27. 청두대학 과거 57
그림28. 청두대학 정문 58
그림29. 청두대학 58
그림30. 중국 청두대학 위치 60
그림31. 청두대학 광역 지역 도시분석도 62
그림32. 청두대학 지역 도로망 체계 63
그림33. 청두대학 지역 분석도 63
그림34. 청두대학 확장 이후 최초 계획안의 배치도 64
그림35. 청두대학 확장 최초 계획안 64
그림36. 청두대학 확장 이후 배치도 65
그림37. 청두대학 확장 이후 배치도 개념도 66
그림38. 청두대학 전경 67
그림39. 청두대학 확장과 지형을 적용한 계획 68
그림40. 청두대학 확장 부분 배치도 69
그림41. 청두대학 신축 도서관 계획안 69
그림42. 청두대학 신축 도서관 각종 도면 70
그림43. 청두대학 신축 도서관 각종 도면 71
그림44. 청두대학 신축 도서관 외부 사진 72
그림45. 청두대학 신축 도서관 내부사진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