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2
1.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선행연구 검토 17
1.3. 연구범위와 방법 28
1.3.1. 연구범위 28
1.3.2. 연구방법 29
1.3.3. 리커트 5척도 30
1.3.4. 연구의 대상 및 기간 34
1.3.5. 연구모형 34
1.3.6. 연구가설 36
2. 이론적 고찰 44
2.1. MZ세대 개념과 특징 44
2.1.1. 세대의 개념 44
2.1.2. 세대의 구분 46
2.1.3. MZ세대의 정의 50
2.2. 육군 초급간부의 현황 53
2.2.1. 초급간부 지원율 하락 53
2.2.3. 초급간부의 보수 및 복무환경실태 55
2.2.2. 국방개혁 2.0과 국방혁신 4.0의 초급간부 관련 정책 59
2.3. MZ세대와 초급간부의 상관관계 62
2.3.1. 간부입대 대상으로서의 MZ세대 62
2.3.2. 군 구성원으로서의 MZ세대 63
2.3.3. MZ세대 간부의 군생활 만족도 65
2.3.4. MZ세대 구성원의 군 이탈 73
3. MZ세대가 인식하는 육군 초급간부의 복무환경 75
3.1. 개념적 정의 75
3.1.1. 독립변수 : 스트레스 75
3.1.2. 종속변수 : 조직문화 76
3.1.3. 조절변수 : MZ세대의 군 조직에 대한 인식문제 77
3.2. 설문지 구성 및 신뢰도 78
3.2.1. MZ세대가 인식하는 초급간부의 스트레스 78
3.2.2. MZ세대 인식 확인을 위한 조직문화 측정도구 79
3.2.3. MZ세대 인식 확인을 위한 인식문제 측정도구 80
3.3. MZ세대가 인식하는 초급간부의 복무환경에 대한 분석 81
3.3.1. 인구통계학 특성 분석 81
3.3.2. 상관관계 분석 84
3.3.3.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85
3.3.4. 가설검증 93
3.3.5. 연구가설 검증 결과 123
3.4. 시사점 133
4. 차세대 육군 초급간부의 복무환경 개선에 대한 정책 제언 135
4.1. 초급간부의 보수 현실화 136
4.1.1. 기본급의 적정화 137
4.1.2. 수당체계 개선 138
4.1.3. 군인의 현업공무원 지정 140
4.1.4. 단기복무장려금 폐지 141
4.2. 초급간부의 복무환경 개선 142
4.2.1. 권역별 주둔지 캠프화 추진 142
4.2.2. 자기계발을 위한 여건보장 145
4.3. 초급간부의 스트레스 경감대책 마련 147
4.4. 군 복무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 149
5. 결론 및 시사점 151
5.1. 연구 요약 151
5.2. 초급간부 지원율 확대 방안에 대한 정책 제언 156
5.3. 연구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 158
참고문헌 160
Abstract 173
부록 〈설문지〉 175
〈표 1〉 본 연구의 가설 29
〈표 2〉 리커트 척도 변형 32
〈표 3〉 Kertzer의 세대 개념의 유형 47
〈표 4〉 세대명칭의 유형별 특성 48
〈표 5〉 선행연구별 세대 구분 49
〈표 6〉 MZ세대의 특징에 대한 선행연구 52
〈표 7〉 2018-2022년 학사장교, 학군단, 부사관 경쟁률 54
〈표 8〉 2021-2023년 육군장교 3월 출신별 임관인원 54
〈표 9〉 2023-2025년 병사(병장) 봉급 및 내일준비 지원금 지급 계획 55
〈표 10〉 2024년 초급간부 계급별 봉급표 56
〈표 11〉 2019년 전반기-2023년 전반기 명예전역자 73
〈표 12〉 2021년 2/4분기-2023년 2/4분기 전직지원교육 신청자 74
〈표 13〉 초급간부로 복무 시 예상되는 스트레스 79
〈표 14〉 초급간부의 복무환경 조직문화 측정도구 80
〈표 15〉 MZ세대 군조직의 인식문제 측정도구 81
〈표 16〉 인구통계학 분석 결과 83
〈표 17〉 요인 간 상관 관계 분석 결과 84
〈표 18〉 나이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86
〈표 19〉 희망 최종 직위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88
〈표 20〉 군 지원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89
〈표 21〉 학군단 혹은 군 장학생인지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92
〈표 22〉 스트레스와 위계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94
〈표 23〉 스트레스와 개발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96
〈표 24〉 스트레스와 합리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98
〈표 25〉 스트레스와 합의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100
〈표 26〉 MZ세대의 군 인식문제와 위계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101
〈표 27〉 MZ세대의 군 인식문제와 개발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103
〈표 28〉 MZ세대의 군 인식문제와 합리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104
〈표 29〉 MZ세대의 군 인식문제와 합의문화 간 회귀분석 결과 105
〈표 30〉 스트레스와 위계문화 간 복무정신의 조절효과 107
〈표 31〉 스트레스와 개발문화 간 복무정신의 조절효과 110
〈표 32〉 스트레스와 합리문화 간 복무정신의 조절효과 112
〈표 33〉 스트레스와 합의문화 간 복무정신의 조절효과 114
〈표 34〉 스트레스와 위계문화 간 병영환경의 조절효과 116
〈표 35〉 스트레스와 개발문화 간 병영환경의 조절효과 118
〈표 36〉 스트레스와 합리문화 간 병영환경의 조절효과 120
〈표 37〉 스트레스와 합의문화 간 병영환경의 조절효과 122
〈표 38〉 복무년차에 따른 전직지원교육 기간 150
〈그림 1〉 리커트 문항의 문항특성 곡선(ICC)척도 변형 33
〈그림 2〉 연구방법 모형 36
〈그림 3〉 Core-MZ세대 63
〈그림 4〉 군내 세대별 구성 64
〈그림 5〉 2019-2021년 MZ세대 간부의 군생활 만족도 66
〈그림 6〉 2020-2021년 입대시점으로 돌아갔을 때 다시 군 간부를 지원할 의사 67
〈그림 7〉 2020-2021년 간부로서 업무 수행중 가장 힘든점 68
〈그림 8〉 개인 생활, 가족 친화적 근무제도 인식 69
〈그림 9〉 군인-민간 기업종사자 비교 71
〈그림 10〉 2019-2021년 MZ세대 군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거시설 유형 72
〈그림 11〉 채택된 가설과 제안된 정책 방안의 연결성 135
〈그림 12〉 국가직 9급 경쟁률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