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신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퇴직 후 비동일직종 진로전환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찾고 자신의 사회적 존재가치를 회복하는 경험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신중년 남성들의 퇴직 후 진로전환을 위한 전략과 영향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교육 및 상담학적 개입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참여자의 경험이 갖는 실질적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비동일직종 진로전환 후 2년 이상 해당 분야에 근속해 오면서 진로 만족을 느끼고 있는 19명의 신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2023년 3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 후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를 통해 신중년 남성의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69개의 개념과 41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신중년 남성의 퇴직 후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에 관한 인과적 조건은 '평생 몸담았던 직장에서의 퇴직' 으로 도출되었고, 중심현상은 '이대로 무너질 수 없는 나' 로 도출되었다. 맥락적 조건은 '가족주의 관념에 의한 책임감' , '사회적 성공에 대한 압박감' 으로 도출되었으며, 중재적 조건은 '삶의 변화로 인한 두려움' , '힘이 되어주는 가족' , '일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 그리고 '진로전환에 대한 자신감' 으로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권위와 명예 내려놓기' , '나 자신을 위해 도전하기' , '자기 돌봄과 자기치유' 그리고 '진로 탐색과 자기계발을 위한 노력하기' 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새로워진 사회적 기능에서의 안정감' , 그리고 '사회적인 존재로서 가치로운 나' 로 도출되었다.
신중년 남성들의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과정 분석의 결과로는 '상실단계' , '회고 및 이해단계; 사고의 유연성' , '시도 및 실행단계; 태도의 유연성' , 그리고 '자기통합 단계' 의 4단계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중년 남성들은 퇴직 후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통해 진로전환을 이루고 일과 삶에서의 자기통합으로 나아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선택코딩을 통한 핵심범주는 '퇴직 후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통해 일과 삶에서의 자기통합으로 나아감' 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신중년 남성 참여자들은 퇴직으로 인해 사회적 역할과 존재가치의 상실감을 경험한 후 충분한 자기인식과 이해를 통해 자신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진로 방향을 수립하고 변화된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비동일직종 진로전환을 이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사회적 기능에서의 안정감과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자기 보살핌 및 성숙한 대인관계를 통한 만족감을 경험하면서 자기통합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및 교육학적 적용 및 개입을 위해 퇴직 후 진로전환을 준비하는 신중년 남성 대상자들이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을 이루어 진로 만족과 삶의 만족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실체적 이론은 상담학적 개입과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