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ABSTRACT 15
Ⅰ. 서론 1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2. 연구문제 26
Ⅱ. 이론적 배경 27
1. 신중년 남성 27
가. 신중년의 개념 27
나. 신중년 남성의 특징 29
2. 생애진로발달과 퇴직 33
가. 전 생애진로발달 33
나. 퇴직 36
3. 진로 적응성과 진로 만족 41
가. 진로 구성주의와 진로 적응성 41
나. 진로 만족 44
4. 진로전환 49
가. 진로전환의 개념 49
나. 진로전환의 유형 및 대처 전략 52
5. 선행 연구 동향 56
Ⅲ. 연구 방법 59
1. 근거이론 방법 59
2. 연구 절차 및 연구참여자 63
가. 연구 절차 63
나. 연구참여자 선정 64
다. 연구참여자의 특성 66
3. 연구자 준비도 및 윤리적 고려 67
가. 연구자 준비도 67
나. 윤리적 고려 68
4. 연구의 타당성 및 진실성 확보 69
5. 자료 수집 70
6. 자료 분석 72
가. 개방코딩 73
나. 축코딩 74
다. 선택코딩 76
Ⅳ. 연구결과 77
1. 개방코딩 : 자료의 범주화 77
1) 평생 몸담았던 직장에서의 퇴직 81
2) 이대로 무너질 수 없는 나 88
3) 가족주의적 관념에 의한 책임감 94
4) 사회적 성공에 대한 압박감 101
5) 삶의 변화로 인한 두려움 112
6) 힘이 되어주는 가족 118
7) 일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122
8) 진로전환에 대한 자신감 125
9) 권위와 명예 내려놓기 130
10) 나 자신을 위해 도전하기 134
11) 자기 돌봄과 자기 치유 138
12) 진로 탐색과 자기계발을 위한 노력하기 144
13) 새로워진 사회적 기능에서의 안정감 149
14) 사회적인 존재로서 가치로운 나 160
2. 축코딩 168
가.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168
나. 과정 분석 176
3. 선택코딩 183
가. 핵심범주 183
나. 이야기윤곽 전개 184
4. 상황모형 190
1) 개인 차원 190
2) 가족 차원 193
3) 조직사회 및 국가 차원 194
4) 사회문화 차원 196
Ⅴ. 논의 및 결론 199
1. 연구결과 요약 199
2. 논의 201
가.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의 중심현상에 관한 논의 201
나.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의 핵심범주에 관한 논의 206
다.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에 대한 상담학적 접근 211
Ⅵ. 연구의 의의 및 제언 218
1. 연구 의의 및 시사점 218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221
참고문헌 224
부록 248
부록 1〉 공고문 248
부록 2〉 연구대상자 설명문 249
부록 3〉 동의서 253
부록 4〉 심층 면담 질문지 254
〈표 1〉 386세대 및 베이비붐 세대 구분 및 특징 30
〈표 2〉 진로 적응성 적응전략 44
〈표 3〉 진로 만족 척도 48
〈표 4〉 연구참여자 간략 정보 66
〈표 5〉 핵심범주 선택 기준 76
〈표 6〉 근거자료에서 도출된 개념, 하위범주, 범주 77
〈표 7〉 인과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 170
〈표 8〉 중심현상의 속성과 차원 171
〈표 9〉 맥락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 172
〈표 10〉 중재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 173
〈표 11〉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속성과 차원 174
〈표 12〉 결과의 속성과 차원 175
〈표 13〉 핵심범주의 속성과 차원 183
[그림 1] 삶의 만족을 통합한 사회인지 진로모형 47
[그림 2] 연구 절차 63
[그림 3] 근거이론의 자료 분석과정 73
[그림 4] 신중년 남성의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 169
[그림 5] 상실단계 177
[그림 6] 회고 및 이해단계; 사고의 유연성 178
[그림 7] 시도 및 실행단계; 태도의 유연성 180
[그림 8] 자기통합 단계 181
[그림 9] 신중년 남성의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 182
[그림 10] 신중년 남성의 성공적인 비동일직종 진로전환과정에 대한 상황모형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