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요약
목차
1.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1.1. 연구의 배경 12
1.1.2. 연구의 목적 13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4
1.2.1. 연구의 방법 14
1.2.2. 연구의 범위 16
2. 빅데이터 및 공공도서관 현황분석 17
2.1. 빅데이터 건축 17
2.1.1. 빅데이터 개념 17
2.1.2. 빅데이터 활용 방법 19
2.2. 빅데이터와 공공도서관 20
2.2.1.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공공도서관 20
2.2.2. 공공도서관의 변화 23
2.3. 공공도서관 규모 산출방식 분석 25
2.3.1. 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25
2.3.2. 공공도서관건립 타당성 검토 사례 분석 27
2.3.3. 공공도서관 선행연구 분석 29
3. 공공도서관 규모 산정 연구모형 35
3.1. 물리적 환경적 영향요인 35
3.1.1. 분석을 위한 영향요인 분류 35
3.1.2. 빅데이터를 이용한 자료수집 37
3.1.3. 분석 방법 38
3.2. 위계 분포 분석 41
3.2.1. 위계 분포 분석 범위 41
3.2.2. 위계 분포 분석 결과 41
4. 적정 규모 산정 방법 제안 48
4.1. 적정 규모 산정을 위한 회귀분석 48
4.1.1. 회귀분석 조건 설정 48
4.1.2. 회귀분석을 이용한 영향요인별 분석 48
4.1.3. 소결론 59
4.2. 규모 산정 방법 제안 61
4.2.1. 선형모형과 결정계수를 이용한 규모 산정 방식 61
4.2.2. 규모 산정 방식 비교·분석 62
4.2.3. 영향요인 분포 차이 분석 66
4.2.4. 도서관 지위에 따른 분석 결과 67
5. 결론 69
참고 문헌 71
Abstract 74
〈표 1〉 지위 및 지역별 봉사권역 26
〈표 2〉 봉사 대상 인구수에 따른 규모 계획 기준 26
〈표 3〉 타당성 검토 평가 내용 28
〈표 4〉 선행연구 요인별 목록 32
〈표 5〉 선행연구 운영적 요인 33
〈표 6〉 선행연구 환경적 요인 34
〈표 7〉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물리적·환경적 요인 도출 35
〈표 8〉 물리적 영향요인의 분류 36
〈표 9〉 공공도서관 방문자 수에 따른 위계 40
〈표 10〉 유의미한 영향요인 결정계수 값 및 회귀식 62
〈표 11〉 공공도서관 규모 산정 방식 면적 산출 63
〈표 12〉 공공도서관 현황과 매뉴얼 비교·분석 64
〈표 13〉 공공도서관 현황과 봉사자 수에 따른 회귀식 면적 비교·분석 65
〈표 14〉 공공도서관 지위에 따른 분석 결과 68
〈그림 1〉 연구 흐름도 15
〈그림 2〉 빅데이터 개념 18
〈그림 3〉 Zenerate사의 ai 타당성 검토 서비스 19
〈그림 4〉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구성도 21
〈그림 5〉 사서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메인 화면 21
〈그림 6〉 핵심 전략과 13개 실행과제 매칭 22
〈그림 7〉 도서관발전 과정 25
〈그림 8〉 지자체 공공데이터 사이트 38
〈그림 9〉 통계청 공개 데이터 사이트 38
〈그림 10〉 단순회귀 선형 모형식 39
〈그림 11〉 영향요인 학교 수 분포 그래프 42
〈그림 12〉 영향요인 학원 수 분포 그래프 43
〈그림 13〉 영향요인 문화 분포 그래프 44
〈그림 14〉 영향요인 교통 분포 그래프 45
〈그림 15〉 영향요인 상업 분포 그래프 46
〈그림 16〉 영향요인 학교 수(0~1km) 회귀 그래프 49
〈그림 17〉 영향요인 학교 수(0~2km) 회귀 그래프 50
〈그림 18〉 영향요인 학원 수 회귀 그래프 51
〈그림 19〉 영향요인 영화관 수 회귀 그래프 52
〈그림 20〉 영향요인 공원수 회귀 그래프 53
〈그림 21〉 영향요인 공원면적 회귀 그래프 54
〈그림 22〉 영향요인 버스 정류장 수 회귀 그래프 55
〈그림 23〉 영향요인 지하철역 수 회귀 그래프 56
〈그림 24〉 영향요인 카페 수 회귀 그래프 57
〈그림 25〉 영향요인 대형마트 수 회귀 그래프 58
〈그림 26〉 선형모형과 결정계수 값을 이용한 GFA 산정 방식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