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스페인 사실주의 작가로 잘 알려진 갈도스는 1891년부터 물질적 세계의 객관적 재현보다는 그 세계를 이루고 있는 인간의 내면과 감정을 중시하는 ‘정신주의’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자비』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 정신적 사실주의 소설의 범주에 들어가는 이 작품에서 작가 갈도스가 스페인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서술하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인간 내면의 섬세한 감정까지 포착해 상상 세계와 접목하는 과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갈도스는 인간의 도덕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이성이 아닌 감정, 특히 공감에서 찾고자 했고, 그렇게 현실의 이익보다는 자비와 이타적인 사랑을 몸소 실천하는 여주인공이자 ‘민중’을 대표하는 베니나와의 공감을 통해 스페인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베니나는 고된 현실에서 창조적이면서도 도덕적인 상상력을 발휘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공감을 통한 구원이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한다. 갈도스는 기존 구세력과 결탁한 중산층보다는 민중의 일상 속에 내재 되어있는 헌신적인 희생정신과 인류애적인 사랑이 계층 간의 이기주의에서 스페인을 구원할 수 있다고 보았다.
Benito Pérez Galdós, a representative novelist of the 19th century Spanish literature, analyzed the problems of Spanish society by observing it realistically from the highest class to the poorest class. In Misericordia, which is evaluated as a Spanish Spiritualism in fi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Galdós depicts invisible human inner emotions and combines them with the world of imagination in order to realistically represente the reality of Spain. From 1891, Galdós became interested in ‘Spiritualism’, which puts emphasis on the inner and emotions of human beings, rather than the objective description of the material world, and Misericordia is the representative novel of this period. Benina, the female protagonist, appears as an altruistic figure that symbolizes ‘el pueblo’, and thus becomes a symbol of Spanish salvation. Galdós sees that the altruistic spirit of sacrifice and anthropogenic love inherent in the everyday life of the people can save Spain from egoism between the classes, rather than the middle class who collide with the existing savior. In addition, the novelist gives Benina a creative meaning of imagination to show her fighting for an ideal in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