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도권 소규모 기독교대학에서 중도탈락 의도를 가진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심층적으로 발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토대로 Tinto의 학생통합모형의 단순한 적용에서 벗어나, ‘푸시-풀(push-pull) 이론’을 접목하여 중도탈락을 유발하는 요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면담대상은 이론적 포화를 위해 두 차례에 걸쳐 목적적으로 선별하여 중도탈락 의도자 10명과 실제 중도탈락자 4명을 심층 면담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수정근거이론 방법(M-GTA)을 활용・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중도탈락을 촉진하는 푸시(Push) 요인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일방적인 신앙교육, 성적에 맞춘 원하지 않은 진학과 불투명한 진로, 낮은 대학의 서열, 공급자 위주의 전공강좌 개설 및 학사행정 서비스’가, (2) 중도탈락을 제어하는 풀(Pull) 요인으로 ‘긴밀한 교우 관계, 학생을 보살펴 주는 교수(소위 ‘학교 엄마’), 소재지와 자격증 취득 가능성‘ 요인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푸시-풀(Push-Pull) 이론’은 대학생의 중도탈락 행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도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발전을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학술적・정책적 의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