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관점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학업탄력성 개념과 관련 논의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이해를 확장하고 교육 연구를 위한 향후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학업탄력성 개념의 기원인 탄력성 연구의 발전을 개관하고, 학업탄력성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 및 연구 모형을 소개하였다. 둘째, 탄력성 이론에 대한 핵심적 비판인 낙관주의와 개인 중심의 신자유주의적 접근에 대한 논의를 학업탄력성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셋째,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업탄력성 연구에서 제기되어온 쟁점과 새로운 과제를 1) 학업탄력성의 측정, 2) 사회문화적 요인, 3) 탄력성의 부정적 이면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학업탄력성 이론이 우리나라 교육 연구에 주는 주요 시사점과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