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텍스트(설명글, 이야기글)를 읽는 동안 안구운동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읽기이해수준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안구운동 특성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4명으로 읽기이해수준에 따라 세 집단(읽기이해하위 16명, 읽기이해중위 13명, 읽기이해상위 15명)으로 분류되었다. 참여자가 유형이 다른 2개의 텍스트를 읽는 동안 전반적인 안구운동을 추적하였으며, 대표적인 안구운동 측정치인 고정과 도약을 중심으로 안구운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텍스트 유형 효과가 모든 집단에서 관찰되었으며, 이야기글보다 설명글을 읽을 때 더 긴 고정시간과 짧은 도약거리, 낮은 읽기율을 보였다. 읽기이해하위 수준의 학생들은 다른 두 집단의 학생들과 비교하였을 때 회귀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고정 수, 평균 고정 시간, 전체 도약 수, 평균 도약 거리, 읽기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읽기이해에 어려움을 가진 학생이 텍스트 유형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안구운동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텍스트를 읽는 중 관찰되는 안구운동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읽기이해와 관련된 언어처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음을 논의에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