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받았던 대만은 동일한 상황에 놓였던 조선과 많은 점에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다만, 강점의 시기가 달랐던 점은 대만과 조선에서 식민지 교육정책의 상이한 출발 조건이 되었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대만의 초등교원 양성제도를 검토하고, 조선에서의 교원정책과 비교 분석하여, 식민지 교원정책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만에서 일제의 교원정책의 목표는 공학교에서 식민지 동화교육을 실현할 것으로 기대되는 신뢰할 만한 교원을 양성하는 것이었다. 시급한 교원 수요에는 무자격 교원을 대용하는 것으로 대처하면서도, 자격 있는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교원면허장제도를 실시하고 사범학교제도를 도입하는 등 일본 본토와 유사한 정책들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로 인해 공학교의 교원 사회는 소지한 자격에 따라 그리고 민족별로 분화된 매우 위계적인 체계가 형성되었으며, 결국 일본인 교원들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대만인 교원보다 매우 우월한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대만에서 교원면허장제도와 사범학교제도를 도입한 것은 식민지 교원양성제도의 ‘진전’이나 ‘확립’을 의미하기보다는 일본인 교원의 초등교육 장악을 목표로 하는 정책이었다. 이러한 특징은 대만의 식민지 교원정책에서만이 아니라 조선에서도 유사하게 발견되는 것이었다.

이처럼 일본인 교원의 초등교육 장악을 목표로 했던 교원정책은 동화주의 교육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갖고 있던 식민지 관료들의 불안한 의식이 투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년간의 동화주의 교육과정과 정교한 훈육장치들로 고안된 사범교육을 통해 배출된 이민족 교원들에 대해서 일본인 관료들은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는 식민지 교육정책의 목표 그 자체가 애초부터 교원의 자율성을 전제로 형성된 근대적 학교교육제도와는 양립하기 어려웠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