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에서 고시한 2021 경기도교육과정의 학교자율과정 정책이 지난 1년 동안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교육과정의 위상을 갖는 2021 경기도교육과정 관련 정책 문헌을 분석하고, 학교자율과정의 네 가지 특성을 도출하여 존엄주의, 민주적 학교자치, 공동체성, 행위주체성 등으로 구성된 분석 틀에 기초하여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자율과정의 구현원리는 공동체성>존엄주의>행위주체성>민주적 학교자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장면에서는 첫째, ‘학생의 삶을 반영하는 철학’과 ‘지속가능한 학생의 배움과 성장의 교육과정’이 존엄주의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둘째, ‘교사들 간의 학습조직’이 공동체성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행위주체성 관련 교육장면은 고루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주적 학교자치 관련 교육장면은 전반적으로 실현 정도가 현저히 낮은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자율과정 정책은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도전 과제라는 측면에서 첫째, 민주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는 ‘교육과정 자치’에 대한 정책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둘째, 학교자율과정에서 나타난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을 공고히 해야 하며, 셋째, 교사 중심의 공동체성을 넘어 모든 교육주체가 함께 행위주체성을 발휘하는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초점을 두고 학교자율과정의 공동체성(co-agency)은 ‘모두의 교육과정 개발’이 펼쳐져야 한다는 후속 연구를 주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