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에 나타난 학생참여 방식을 분석하고자 내용요소와 참여방식을 탐색했다. 인정교과서 내용요소와 함께 이를 다루는 접근방식의 특징을 드러냄으로써 학생의 사회참여 실천을 보장하는 교육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인정교과서의 내용요소에 학생을 접근시키는 방식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인지적 접근, 참여적 접근, 정의지향적 접근 등 이상 세 가지 민주시민교육의 접근 관점에 따라 분류했다.
분석결과,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는 인지적 접근에서 출발하면서, 주로 참여적 접근을 통해 학생의 사회참여입문 촉진을 지향했다. 이러한 지향은 학생의 사회참여실천이 보다 더 정의지향적 접근으로 이어져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교육활동 수업이 가능하도록 기획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에게 인정교과서를 활용하는 민주시민교육 활동을 실행할 때 학생에게 참여적 접근을 근간으로 하면서 사회참여 실천의 비중을 높여갈 수 있는 촉진자 역할 수행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교사에게는 학생이 민주시민교육 내용을 사회참여 실천의 활동 안에서 학생주도성을 발휘하면서 다루는 동안, 학생과 함께 공동주도성이 발휘되는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역량이 동시에 요청된다. 이를 위해 민주시민교육 장면에서 학생주도성이 교사-학생 간 공동주도성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실천적이면서 포용적인 역량을 신장시켜줄 수 있는 교사지원과 교사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