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9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나타난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기준으로 우수학력 학생과 노력요망 학생 비율이 평균 이상인 학교를 각각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로 구분하고, 연구문제를 다음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목별 학업성취수준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를 예측하는 학교 특성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이 요인은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 간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학생, 교사, 교장 설문조사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은 벌점화 회귀모형의 한 방법인 랏소 로짓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별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 간 학교특성 평균 차이는 분석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국어, 영어, 수학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 간 차이를 보여주는 변수는 학부모 풍토(자녀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학부모 요구), 기초생활수급대상자 수, 다문화가정 학생 수, 학생의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학교설립유형(국공립/사립), 학생 자율학습 시간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