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 원격수업 상황에서 다른 학교급에 비해 학습격차가 크게 벌어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격수업 상황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원격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측면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초등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 4명씩 총 8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시간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화상으로 진행되었고 면담 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내외로 소요되었다. 면담을 마치고 난 후 전사 자료를 통해 원격수업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경험을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단계에서부터 모든 학생에게 기초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학습을 지원하는 조력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 대한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체계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 넷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오프라인학습 병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 지역사회, 가정의 시스템적 지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원격수업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