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이 이뤄지는 학교현장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감소 및 관계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통합 체육수업의 질적향상을 도모하고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통합 체육수업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핵심요인 도출을 위해 문헌조사를 진행하였고 통합 체육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특수교사 1인, 통합학습 담임교사 1인, 체육교육 전공 대학교수 2인과 함께 전문가협의회를 진행하며 조사-개발-예비 검증의 단계를 거쳤다. 문헌조사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내용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의 과정을 거쳐 통합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내용타당성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12차시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거리감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둘째, 통합 체육수업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셋째, 12차시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차시별 주제, 주제별 참여유형, 신체활동, 세부 활동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제반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합 체육수업 프로그램은 물리적인 통합을 넘어 질적 통합을 추구하였으며,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 긍정적인 체육수업 경험의 축적에 기여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 체육교육 연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실제적 경험을 분석하는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