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에서는 갈등이 일어나는 대화 상황에서 제3자로서의 조정자가 개입하여 대화참가자들이 자신의 대화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연구한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하는 조정대화는 중재대화보다 폭넓은 개념으로, 법적인 구속력이 없더라도 제3자가 나서서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시도가 포함된 대화단면을 포괄한다.

대화참여자들은 대화를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입장차이의 상태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대화목표를 설정하게 되며, 조정자는 이러한 입장차이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 즉 협력을 위한 대화전략을 모색한다. 본고에서는 조정자의 전략을 입장차이의 조정 양상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입장차이를 고정하는 조정이 있는 한편 입장차이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려는 조정 전략이 있을 수 있다. 입장차이에 변화를 시도하는 전략 중에는 조정자와 피조정자 간의 입장차이에 변화를 주는 전략과, 피조정자들 간의 입장차이에 변화를 주고자 하는 조정 전략을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피조정자들 간의 입장차이에 있어서의 변화는 조정대화에서 생각할 수 있는 전형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는 쌍방의 입장차이에 대한 변화를 주고자 하는 전략이 있을 수 있고 일방의 입장에만 변화를 주려는 전략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자는 피조정자들의 중간 입장을 취하면서 이들의 입장변화에 따르는 부담과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