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이후 국가 간 연결고리는 점점 더 밀접해지면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국가간 무역 네트워크는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었다. 글로벌가치사슬이 통신 및 물류 기술의 발전으로 확대됨에 따라 전통적인 완제품 무역은 점차 가공 무역으로 대체되고, 각 국가가 참여하는 생산네트워크는 국제무역의 핵심이 되었다. Poter(1985)가 가치사슬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이후 글로벌가치사슬 이론은 거의 40년 동안 발전을 거듭해와 각종 문헌을 통해 산업 클러스터, 부가가치 무역, 글로벌가치사슬 분업, 글로벌가치사슬 지배구조 등에 대한 수많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글로벌가치사슬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글로벌가치사슬에 대한 객관화된 자료분석을 기초로 최근까지의 포괄적인 연구동향과 미래 방향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과 과학적 프런티어 이론에 기반한 CiteSpace 5.8.R3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글로벌가치사슬에 관한 총 3,441편의 논문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를 통해 글로벌가치사슬이론의 핵심 연구 동향과 연구 이슈를 정리한 결과, 글로벌가치사슬의 해외 연구는 부가가치획득, 업그레이드, 가치사슬의 역할 배분 및 지배구조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중국내 연구자들은 생산성과 해외직접투자, 산업클러스터링 효과에 대한 연구에 한층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Since the 21st century, countries have become more and more closely connected, and the once unattainable transoceanic and transcontinental trade has now become commonplace, and trade networks have invisibly penetrated all corners of the world. With the gradual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nd logistics technology, the traditional trade of finished products is gradually replaced by processing trade, and the production chain of trade goods in which each country participates constitutes the main body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trade, and the production chain is known as the global value chain. Since Poter (1985) first proposed the concept of global value chains, the theory of global value chains has been developed for nearly 40 year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scholars at home and abroad have conducted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industrial clusters, value-added trade, global value chain division of labor, global value chain governance, etc. However,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classification studies are relatively lacking, and systematic studies on the current research hotspots and frontier trends of global value chains are still lacking.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quantitatively analyzes a total of 3,441 papers on global value chains by using CiteSpace 5.8.R3 visualization software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cientific frontier theory, composes the recent research development in the field of global value chains in social sciences, discusses the current frontier hotspots of global value chains research It provides a theoretical reference for promoting the research work and futur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f global value ch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