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에서 안전교육의 반영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개정 교육과정 체제에서 초등학교안전교육의 활성화와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 총론 및 창의적 체험활동교육과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10개 교과에서 안전교육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22 개정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교의 안전교육에 대한 지원을 제도화하는 근거 조항을 마련하고, 위기 상황에 대응 능력을 기르는 체험 중심 안전교육 및 연계적 안전교육을 강조하고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관련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안전교육이 별도의 독립된 ‘영역’으로 다루어진 것과 달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체험활동 과정에서 지켜야 할 ‘지침’이나 ‘예시’로 제시되고 있었다. 교과 교육과정의 경우, 대부분 교과에서 안전 관련 내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성취기준’의 수는 감소했지만, 안전 관련 내용은 ‘성취기준 해설’이나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등을 통해 성취기준이 구체화되는 ‘맥락’이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는 실험·실습 상황, 다중 밀집 상황에서 안전교육이 강조되고, 안전과 건강이 학습 활동 소재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일부 교과에서 새롭게 명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안전교육이 반영되는 방식이 영역과 성취기준 추가를 넘어 보다 다양해졌음을 보여주지만, 다른 한편으로 성취기준 수의 감소가 학교에서 안전교육 축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해, 안전교육이 내실화 및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 제언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