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미래목표,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부모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패널자료의 8차년도 고등학교 3학년 7,324명의 자료이다. 연구결과 외재적 미래목표와 내재적 미래목표는 학업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내재적 미래목표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학업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외재적 미래목표와 내재적 미래목표는 학업적 자아개념을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지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모지원이 높은집단보다 낮은집단의 기울기는 더 높게 나타나 부모지원이 낮을수록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학업적 자아개념의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미래목표가 학업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지원의 조절된 매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래목표를 외재적, 내재적 미래목표로 구분하여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와 더불어 부모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