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ㆍ중등학교에서 메타버스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유형을 도출하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를 확인한 후 이에 대한 교육적 활용 전략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여 유형과 전략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델파이 조사, 사용성평가,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섯 가지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교수학습 유형 중 메타버스 학습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강의형’, ‘체험형’, ‘토론ㆍ토의형’, ‘문제해결형’, ‘창작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전략의 경우 수업 준비, 운영, 후 단계에 따라 16개의 세부요소와 70개의 상세 전략으로 구성하였다.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물리적 수업 환경과 메타버스 내 수업 환경, 물리적인 교실 안전, 디바이스 착용 시 안전, 메타버스 내 가상의 안전, 윤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ㆍ중등학교 맥락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을 설계할 때 참고할 만한 실제적인 지침과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types of metaverse class in K12 education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dentify factors to consider when using the metaverse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develop strategies for its educational use. This was achie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experienced in educational utilization. The study also involved Delphi surveys, usability tests, and expert reviews to validate the developed types and strategies. Five types of metaver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were identified, focusing on those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Lecture, Experiential, Discussion/Debate, Problem-Solving, and Creative. In the case of strategy, it consisted of 16 detailed elements and 70 detailed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operation, and post-stage of class. For the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hysical classroom environment, physical classroom safety, device wearing safety, virtual safety in the metaverse, and ethical iss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presented considerations for using the metaverse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ovided practical guidelines and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when designing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