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 5종, 〈사회·문화〉 교과서 5종에 나타난 고령사회에 대한 서술을 분석하여, 해당 교과서가 견지하는 고령사회에 대한 관점을 드러내고 그 양상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 사회는 급격하게 고령화 되어가고 있으나, 대응은 원활하지 못한 편이다. 교육 분야에서 고령사회로의 변화를 주요 내용 요소로 하여 교수-학습이 진행되고 있으나, 정작 저출산 문제에 가려져 고령화 양상을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통합사회〉, 〈사회·문화〉 교과서에서 고령사회를 어떤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고령사회에 대한 관점을 특히,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 성장주의와 복지주의, 제도적 접근과 의식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분석 기준으로 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통합사회〉, 〈사회‧문화〉 교과서에서는 고령사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학습자에게 부정적 고정관념을 강화할 문제가 있다. 둘째, 성장주의와 복지주의가 비슷한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성장주의 시각의 서술이 조금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제도적 접근의 서술 내용이 의식적 접근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의식 개선에 대한 부분을 면밀히 다루지 않은 채, 제도적 개선만 모색하는 것은 대응 방안 마련에 일정 부분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새로운 교과서 집필에서 참고할 내용을 도출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