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러시아와 중국이 과학기술 협력의 범위를 확대하고 강화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기초과학, 응용과학,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양국 간 과학 기술 협력 현황을 분석한다. 러시아는 기초과학의 강점이 있지만, 원천기술의 응용과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리고 러우 전쟁 이후 서방의 제재 강화로 인하여 서방의 자본, 기술 도입이 어려워졌다. 러시아는 연구기관과 기업 간 효율적인 기술혁신 네트워크 부재로 신기술의 연구개발과 상용화에서 성과를 창출하는 데 불편을 겪고 있다. 러시아는 이러한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중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과 응용에서 성과를 거두었으나 기초과학의 연구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산업의 판도를 바꿀 원천기술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은 현재 직면한 과학기술 연구개발에서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러시아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 모두 미국의 견제와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도 양국의 과학기술 협력 강화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기초과학, 응용과학 분야에서 주요 대학 간 연구개발과 교육을 연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양국의 주요 기업 간 협력을 통해 러시아의 5G 인터넷 네트워크를 확충하고 있고 양자 통신 기술 협력을 통해 통신보안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러시아는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한 중국 레거시 반도체 제품을 수입하면서 자국의 반도체 수급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다. 양국은 스마트 팩토리와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해 러시아 제조업 인력 수급과 제조업 생산 기반 운영의 어려움을 완화하고 있다. 또한 지리적으로 인접하지만, 자국의 다른 지역들에 비해 낙후된 러시아 극동과 중국 동북 3성 지역 간 산업 협력을 통해 양국의 생산기술 수준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의 과학기술 협력은 양국의 약점을 보완하고 서로의 수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당분간 발전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