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확대가 노인가구와 중장년층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2014년도에 있었던 기초연금 수급액 인상 전후 기초연금의 영향을 받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의사결정을 비교한다. 노인가구의 경우 기초연금 수급가능성이 큰 국민연금 소액 수급자의 고용율이 기초연금 수급자격이 없는 특수직역연금 수급자보다 2014년 기초연금 확대이후 4.3%p 감소하였으며, 50~59세 기혼 여성 중 배우자의 국민연금 납부액이 높은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국민연금 임의가입률이 3%p 하락하였다. 이는 기초연금의 급여액 증액이 노인가구 및 중장년층의 행태 변화를 통해 추가적인 재정비용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f the 2014 expansion of the Basic Pension program (BP), a means-tested cash transfer program for low-income elderly in South Korea, on the behavioral responses of elderly and middle-aged households.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we compare the economic outcomes of those eligible for BP with those who are not affected, focusing on the labor supply of the elderly and the retirement savings of middle-aged workers. For elderly households, National Pension (NP) beneficiaries who are eligible to receive BP experienced a 4.3 percentage point decline in employment relative to Occupational Pension (OP) beneficiaries who are not eligible for BP. For married women aged 50-59, the voluntary enrollment rate in NP decreased by 3 percentage points among those whose spouses had high NP contributions and were thus less likely to receive BP upon retir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BP benefits may lead to additional fiscal costs due to the behavioral responses of both elderly and middle-aged househo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