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세계의 주요 국가에서 국가 경쟁력의 제고를 위해 지명 제반 업무의 표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추세에 부응하고, 지명 관련 제반 업무의 표준화를 달성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지명법(안)〉의 후속 조치로 마련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명 관련 제반 업무의 표준화 문제 중에서 지명부여 대상물 제정 기준, 지명부여 대상물 표기 기준, 지명의 레벨별 표현 방안, 기초지명, 국가 지명DB의 효율적인 운용 방안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지명부여 대상물 제정 기준 마련 분야에서 지명 표준화의 이론적 모델과 경험적 사례를 분석하여 지명 표준화 달성을 목표로 지명부여 대상물 제정 기준 체계 수립의 논리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명칭 제정의 권한, 방법, 절차, 사용 등의 층위에서 제기되는 표준화의 문제를 열거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지명 표준화 체계에 따라 구체적인 지명 제정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지명 표준화 관련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명부여 대상물의 표기 기준의 마련 분야에서 기존의 표기 기준을 분석하여 지명의 표준화를 위한 표기 원칙을 제안하였다. 표기의 정확성 원칙, 경제성 원칙, 복원 가능성 원칙, 관행성 원칙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약어 표기의 허용 기준으로 예측가능성 원칙과 원지명 복원가능성 원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의 체계적인 표기 기준 마련의 길잡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명을 레벨별 표현대상 제시 및 DB 구축방안 연구의 분야에서 12단계의 레벨별 표현 방법과 이와 관련된 DB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레벨별 지명DB의 지도 제작적 측면의 활용방안과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지명DB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지명 선정방안 마련 및 기초지명 활용방안 연구의 분야에서 초등학교 323개, 중학교 130개, 고등학교 164개 등 모두 617개의 기초 지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기초지명이 사회과 부도, 기초지명 자료집, 기초지명 콘테스트 등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지도 제작과 연계한 지명의 조사 및 DB의 운용방안 연구의 분야에서 기존의 제 지명DB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명DB에서 지도제작업무와 연속수치지도 제작업무를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는 개체관계모델(ERD)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지명의 이력관리를 통해 지명과 지명 유래에 대해 역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명DB를 개선하여 향후 지명DB의 원활한 활용이 기대되며, 지명DB를 지도제작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