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현대 일본사회와 새로운 ‘공공’의 탐색<1부> 제도적 모색Ⅰ. 동성파트너쉽제도를 통해 본 포섭과 배제의 정치학 1. 일본사회의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과 동성파트너쉽 제도의 도입2. 일본의 혼인제도와 동성파트너쉽의 위상3. 동성파트너쉽 제도를 둘러싼 움직임: 정치권을 중심으로4. 동성결혼을 둘러싼 페미니즘, 성소수자 내외부의 입장차5. 성소수자운동과 페미니즘의 연대: 앞으로의 전망Ⅱ. 지역복지의 공공(公共), 그리고 ‘새로운’ 공공1. ‘새로운 공공’이라는 화두2. 공공, 그리고 ‘새로운’ 공공3. 지역복지의 현장에서 본 ‘공(公)’과 ‘공(共)’4. 사협은 왜 ‘관’이라고 인식되는가5. ‘새로운 공공’의 지역적 실천과 그 한계6. “지역만이 할 수 있는 것”<2부> 전후 미디어Ⅲ. NHK월드TV와 ‘일본’ 이미지의 변용1. ‘외국인’ 대상 텔레비전 국제방송2. 소프트파워와 국제방송의 담론적 결합3. 시청자 니즈와 방송 효과라는 신기루4. 국제 경쟁력과 ‘일본’ 이미지의 변용5. 일본 사회의 구조 변동과 ‘일본’을 둘러싼 이미지 정치Ⅳ. 다이쿠(第九) 현상과 일본적 베토벤1. 일본열도의 베토벤 9번(다이쿠) 열광2. 일본의 다이쿠 현상3. 비판적 관점에서 본 베토벤 9번과 다이쿠4. ‘고통에서 환희로’의 허상<3부> 타자 인식Ⅴ. ‘애국여성’의 등장과 ‘반(反)위안부’ 활동1. 일본의 보수우경화와 여성2. 현대 일본의 ‘애국여성’3. ‘애국여성’의 국제적 ‘반(反)위안부’ 활동4. ‘애국여성’의 특징과 위안부문제Ⅵ. 일본 중국사학자의 중국인식과 ‘공동체론’1. 일본의 ‘중국론’2. 사회유형론적 중국사관의 부활3. 중국국가와 사회 격리론: ‘약한 국가’, 혹은 ‘국가 부재론’4. 인식도구로서의 ‘공동체’ 인식과 중국관5. ‘공동체라는 인식틀’의 문제점<4부> 자기 이미지Ⅶ. 고지라는 왜 일본으로 돌아오는가1. 고지라 영화의 주인공은 누구인가2. 고지라와 ‘망령’3. 고지라와 자위대4. 공동체의 침몰5. 파괴를 소비하는 공동체6. 나가며: <신 고지라>는 새로운가?Ⅷ. 3.11 이후, 무라카미 다카시의 변화하는 슈퍼플랫1. <오백나한도>는 무엇을 초래했는가?2. 전통과 오타쿠는 어떻게 길항하는가?3. <오백나한도>에서 <메메메의 해파리>로: ‘이야기’는 성공했는가?4. 흔들리는 슈퍼플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