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1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4
제2절 연구 내용 27
제3절 연구 방법 29
제2장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결과 분석 32
제1절 K-CESA 진단 참여 대학과 학생 현황 33
1. 진단 참여 대학 특징 33
2. 진단 참여 학생의 특징 34
제2절 K-CESA 진단 결과 38
1.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 38
2. 핵심역량별 K-CESA 점수 43
제3절 K-CESA 진단 참여 학생 설문조사 61
1. K-CESA 진단 설문조사 개요 61
2. 설문조사 분석 결과 64
제3장 미래 노동시장과 핵심역량 72
제1절 핵심역량 관련 선행연구 73
1. 국내 선행연구 검토 73
2. 기술변화 및 4차 산업혁명 대비 등에 따른 핵심역량에 관한 국외 선행연구 검토 86
제2절 OECD 미래 교육 및 기술 2030 92
1. 프로젝트 배경과 역량 도출 단계 92
2. 미래역량 정의와 구성요소 94
3. 시사점 98
제3절 프랑스 사례 99
1. 고등교육과 핵심역량 정책 배경 99
2. 역량의 일반적 정의, 전공 분야별 역량 정의 104
3. 대학교육현장의 움직임과 반응 107
제4절 독일 사례 115
1. 고등교육의 변화 115
2. 대학교육현장의 움직임과 반응 118
3. 4차 산업혁명 등 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의견 123
제5절 소결 127
제4장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신규 문항 개발 133
제1절 문항 개발의 개요 134
1. 개발 방향 135
2. 개발 내용 136
제2절 문항 개발의 과정 137
1. 선행연구 분석 137
2. 기존 검사 검토와 신규 개발 방향 설정 140
3. 예비문항 선정 141
4. 내용 타당도 검토 142
5. 예비조사 실시 및 문항 분석 143
6. 문항 선정 144
7. 본조사 및 규준 설정 144
제3절 예비조사 145
1. 표본 특성 145
2. 분석 결과 146
제4절 본조사 153
1. 본조사 문항 선별 153
2. 분석 결과 155
제5절 문항 개발 결과 161
1. 결과 요약 161
2. 제언 163
제5장 K-CESA 지원과 활용 사례 165
제1절 대학별 핵심역량 현황 분석 166
1. 대학별 핵심역량 현황 167
2. K-CESA 핵심역량과 대학별 핵심역량 비교 171
제2절 K-CESA 진단 자료 표준화 173
1. 표준화 데이터 구축 방안 174
2. 표준화 데이터 구축 178
3. 표준화 데이터의 구축과 활용 189
제3절 K-CESA 활용 대학생 핵심역량 학술대회 192
1. K-CESA 학술대회 개요 192
2. K-CESA 학술대회 연구주제 194
3. K-CESA 학술대회 참여자 195
4. K-CESA 학술대회 개선안 196
제4절 K-CESA 서포터즈 운영 197
1. K-CESA 서포터즈(K-CESA 대학생 자문단) 197
2. K-CESA 서포터즈의 구성 198
3. 활동 실적 199
제6장 결론 200
제1절 요약 201
제2절 정책 제언 203
SUMMARY 209
참고문헌 213
[부록 1] K-CESA 10개년 계획 220
[부록 2] 2017, 2018년도 연구 추진 실적 222
[부록 3] K-CESA 학술대회 발표자료 225
[부록 4] Deloitte(2017)의 기술, 지식, 역량 등 전체 역량 도표 229
판권기 232
〈표 2-1〉 K-CESA 진단 참여 대학 현황(2016~2019) 34
〈표 2-2〉 K-CESA 진단 참여 학생 현황(2016~2019) 37
〈표 2-3〉 핵심역량별 K-CESA 점수(2016~2019) 40
〈표 2-4〉 참여 학생 특징별 K-CESA 점수(2016~2019) 42
〈표 2-5〉 자기관리역량 점수(2016~2019) 44
〈표 2-6〉 대인관계역량 점수(2016~2019) 47
〈표 2-7〉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2016~2019) 50
〈표 2-8〉 글로벌역량 점수(2016~2019) 53
〈표 2-9〉 의사소통역량 점수(2016~2019) 56
〈표 2-10〉 종합적 사고력 점수(2016~2019) 59
〈표 2-11〉 2019년 설문조사 참여 학생 분포 62
〈표 2-12〉 설문조사 문항 63
〈표 2-13〉 출신 고등학교 유형 64
〈표 2-14〉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K-CESA 점수 65
〈표 2-15〉 입학 전형 방법 66
〈표 2-16〉 입학 전형 방법별 K-CESA 점수 66
〈표 2-17〉 진로계획 67
〈표 2-18〉 진로계획별 K-CESA 점수 67
〈표 2-19〉 학점 평균 68
〈표 2-20〉 학점별 K-CESA 점수 68
〈표 2-21〉 가정 경제 사정 69
〈표 2-22〉 가정 경제 사정별 K-CESA 점수 70
〈표 2-23〉 학비 조달 방법 71
〈표 2-24〉 학비 조달 방법별 K-CESA 점수 71
〈표 3-1〉 미래인재 핵심역량 79
〈표 3-2〉 영역별 핵심역량 중요도 81
〈표 3-3〉 글로벌 기업이 요구하는 15개 역량과 정의 83
〈표 3-4〉 전통적 직업기초능력 84
〈표 3-5〉 미래 직업기초능력 85
〈표 3-6〉 4차 산업혁명 대비 요구역량 88
〈표 3-7〉 학습 나침반 구성 요소 95
〈표 3-8〉 미래역량 구성 요소 96
〈표 3-9〉 프랑스 교육부 역량좌표 - 심리학과, 교육학과 사례 105
〈표 3-10〉 파리 5대학(Descartes) 심리학과와 교육학과 목표 역량 107
〈표 3-11〉 선행연구별 미래 핵심역량 제시 내용 128
〈표 3-12〉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영역 129
〈표 3-13〉 국내외 문헌연구 및 면담 결과에 따른 미래 핵심역량 130
〈표 4-1〉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의 하위영역별 전형적 수행과제 138
〈표 4-2〉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검사 예비조사 분석 대상 145
〈표 4-3〉 예비조사 선다형 문항 전체 기술통계(N=143) 146
〈표 4-4〉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정 결과 148
〈표 4-5〉 선다형 검사 하위영역별 검사 신뢰도 150
〈표 4-6〉 선다형 검사 문항 제거 시 신뢰도 151
〈표 4-7〉 검사 문항별 답지반응분포 및 문항 난이도, 변별도(N=143) 152
〈표 4-8〉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예비조사 문항 선별 결과 및 제외 사유 154
〈표 4-9〉 본조사 선다형 문항 전체 기술통계(N=583) 156
〈표 4-10〉 선다형 검사 하위영역별 검사 신뢰도 157
〈표 4-11〉 본조사 문항별 답지반응분포 및 문항 난이도, 변별도(N=583) 157
〈표 4-12〉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모형의 적합도 지수 160
〈표 4-13〉 본조사 문항 요인계수 160
〈표 5-1〉 분석 대상 대학 169
〈표 5-2〉 전국 대학 핵심역량 수 170
〈표 5-3〉 핵심역량별 활용 학교 수(상위 10개 역량) 171
〈표 5-4〉 K-CESA 핵심역량 활용 학교 수 172
〈표 5-5〉 K-CESA 핵심역량 일치율 173
〈표 5-6〉 표준화 데이터 구축 방안 요약 177
〈표 5-7〉 국내 대학 재학생 수와 진단 참여 표준화 데이터 구축을 위한 변수 178
〈표 5-8〉 대학 재학생 및 진단 참여자 분포 181
〈표 5-9〉 학년별 남학생 표본 학생 수 183
〈표 5-10〉 학년별 여학생 표본 학생 수 184
〈표 5-11〉 4개 영역 이상 참여한 결과 요약 186
〈표 5-12〉 4개 영역 이상 참여 학생 중 re-sampling 결과 요약 187
〈표 5-13〉 4개 영역 이상 참여 학생 중 모집단 복원가중치 적용 결과 188
〈표 5-14〉 표준화 데이터(K-CESA 진단 자료) 변수 189
〈표 5-15〉 표준화 데이터(대학알리미 자료) 변수(기준 2018년) 190
〈표 5-16〉 K-CESA 서포터즈의 구성 198
[그림 2-1] 자기관리역량 점수(2019) 45
[그림 2-2] 대인관계역량 점수(2019) 48
[그림 2-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2019) 51
[그림 2-4] 글로벌역량 점수(2019) 54
[그림 2-5] 의사소통역량 점수(2019) 57
[그림 2-6] 종합적 사고력 점수(2019) 60
[그림 3-1] 35개 핵심 직무기술 77
[그림 3-2] 21세기 가장 핵심적인 16가지 기술 78
[그림 3-3]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역량 90
[그림 3-4] OECD 학습 나침반 첫 번째 단계 93
[그림 3-5] OECD 학습 프레임 두 번째 단계 94
[그림 3-6] 독일 자유대의 ABV 과정 119
[그림 4-1]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요인 모형 159
[그림 5-1] 대학의 핵심역량 현황(예시) 168
[그림 5-2] K-CESA 학술대회 진행 절차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