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및 정책건의 4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1. 배경 및 필요성 20
2. 목적 2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2
1. 연구내용 22
2. 연구방법 23
3. 기대효과 24
제2장 이론 검토 25
제1절 국제안전도시란? 26
1. 국제안전도시의 개념과 역사 26
2. 국제안전도시 기본원칙 29
3. 국제안전도시 인증 30
4. 국제안전도시 인증 현황 36
5. 국제안전도시 사업 39
제2절 관련 법ㆍ제도 검토 43
1. 안전관련 법률 구성 43
2. 안전 관련법률 검토 45
3. 안전관련 조례 검토 54
제3장 세종 국제안전도시 조성 현황 57
제1절 세종시 안전 현황 58
1. 안전지수 및 주요 안전통계 58
2. 사고손상 현황 61
3. 세종시 안전도시위원회 활동 65
4. 세종시민의 안전의식 설문조사 67
제2절 세종시 국제안전도시 공인과정과 성과 70
1. 국제안전도시 공인 준비과정 70
2. 세종 국제안전도시 조성의 성과 77
제4장 국제안전도시 사례 조사 85
제1절 국내 사례 86
1. 제주특별자치도 88
2. 부산광역시 92
3. 공주시 97
4. 순천시 102
5. 구미시 105
제2절 국외 사례 109
1. 노르웨이: 시(Ski municipality) 109
2. 일본: 도시마 구(Toshima city) 115
3. 이란: 졸파-아가스 자유구역(Jolfa-Aras Free Zone) 121
4. 일본 고리야마 시 (Koriyama City) 126
5. 태국: Talad-Kreab Tambon 133
6. 오스트리아: 포르알베르크 주(Sicheres Vorarlberg) 139
제3절 시사점 148
제5장 세종 국제안전도시 사업 제안 151
제1절 방향 설정 152
제2절 사업 도출의 기준ㆍ원칙 153
제3절 사업 도출 및 제안 154
제6장 결론 160
제1절 검토내용 종합 161
1. 국제안전도시 개념ㆍ인증 161
2. 세종 국제안전도시 활동ㆍ성과 163
3. 국내ㆍ외 사례도시의 검토 시사점 165
4. 사업 도출 기준 및 결과 166
제2절 재공인 비전 설정방향 168
제3절 정책 제언 172
참고문헌 176
[부록 1] 세종시 안전증진사업 리스트 179
[부록 2] 국제안전도시 공인신청서(Form A)에 기재된 「안전증진 및 손상예방 사업」 - 국내사례 182
[부록 3] 타 지자체 국제안전도시 사업목록(2020년) 194
판권기 3
[표 2-1] 국제안전도시 인증 자치단체 현황 (2020년 2월 25일 기준) 37
[표 2-2] 우리나라 사망원인 순위(2018년) 40
[표 2-3] 우리나라 손상 원인별 사망자수(2012~2018년) 41
[표 2-4] 소관부처별 안전명칭 사용 법률 현황 44
[표 2-5] 재난관리 측면의 안전법률(재해ㆍ재난 분야) 45
[표 2-6] 재난관리 측면의 안전법률(도시개발 분야) 46
[표 2-7] 재난관리 측면의 안전법률(환경 분야) 46
[표 2-8] 재난관리 측면의 안전법률(산림 분야) 47
[표 2-9] 재난관리 측면의 안전법률(소방 분야) 47
[표 2-10] 자살관련 안전법률 현황 48
[표 2-11]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의 주요내용 48
[표 2-12] 감염관련 안전법률 현황 49
[표 2-13]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주요내용 49
[표 2-14] 범죄관련 주요 안전법률 50
[표 2-15] 소관부처 및 산업안전관리별 안전법률 현황 51
[표 2-16] 소관부처 및 시설물 관련 안전법률 현황 52
[표 2-17] 소관부처 및 시설물 관련 안전법률 현황 53
[표 2-18] 지자체별 안전도시 관련 조례 제정 현황(2020년 4월 기준) 54
[표 2-19] 안전증진을 위한 세종특별자치시 주요 조례 55
[표 2-20] 세종특별자치시 안전도시 조례의 주요내용 56
[표 3-1] 광역ㆍ기초지자체별 지역안전지수 분포(2019년) 58
[표 3-2] 특ㆍ광역시 지역안전지수 현황(2017~2019년) 60
[표 3-3] 광역별 손상사망자수 변화(2012~2018년) 61
[표 3-4] 세종시 원인별 손상사망자수 변화(2012~2018년) 62
[표 3-5] 세종시 연령별 손상사망자수 변화(2012~2018년) 62
[표 3-6] 세종시 연령별 손상사망자수 변화(2012~2018년) 64
[표 3-7] 세종시 안전도시위원회 활동내역 65
[표 3-8] 안전도시위원회 주요 성과 65
[표 3-9] 세종시민안전의식 조사 개요 67
[표 3-10] 국제안전도시 추진 연혁 71
[표 3-11] 세종시 안전도시위원회 구성 72
[표 3-12] 세종시 안전증진사업 추진 현황 77
[표 4-1] 국내 국제안전도시 공인도시 사업 현황 87
[표 4-2] 제주도 안전관련 시정계획(2018~2019년) 91
[표 4-3] 안전 하이(High) 콘서트 개최 내역(2019년) 94
[표 4-4] 순천시 PLUS 시민안전리더 사업실적 104
[표 4-5] 노르웨이 시(Ski)의 안전주간사업 주요 내용 111
[표 4-6] 노르웨이 시(Ski)의 도로안전사업 주요 내용 112
[표 4-7] Ski의 생애주기별 안전프로그램 주요 내용 114
[표 4-8] 도시마 구의 생애주기별 안전프로그램 횟수 (2017년 기준) 117
[표 4-9] 도시마 구의 안전프로그램 주요 내용 118
[표 4-10] 도시마 구의 고위험군 안전프로그램 주요 내용 119
[표 4-11] Jolfa의 생애주기별 안전프로그램 주요 내용 123
[표 4-12] Jolfa의 분야별 안전프로그램 주요 내용 124
[표 4-13] Jolfa의 고위험군 돌봄프로그램 주요 내용 125
[표 4-14] 고리야마 시의 생애주기별ㆍ안전분야별 주요 내용 130
[표 4-15] 고리야마 시의 분야별 안전프로그램 주요 내용 131
[표 4-16] 고리야마 시의 고위험군 돌봄프로그램 주요 내용 132
[표 4-17] Talad-Kreab 땀본의 주요 내용(2010년 공인) 135
[표 4-18] Talad-Kreab 땀본의 주요 내용(2016년 재공인) 137
[표 4-19] 국내ㆍ외 사례 시사점 종합 150
[표 5-1] 세종시 국제안전도시 사업 제안 154
[표 6-1]/[표 6-2] 국내 국제안전도시 공인도시 비전 169
[표 6-2]/[표 6-3] 국내 국제안전도시 재공인도시 Vision 변화 170
[그림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2
[그림 1-2] 연구의 방법 23
[그림 1-3] 연구의 구성 24
[그림 2-0] 안전도시 네트워크 26
[그림 2-1] 국제안전도시 공인절차 32
[그림 2-2] 국제안전도시 인증 자치단체 현황 36
[그림 2-3] 손상의 개념 변화 39
[그림 2-4] OECD 국가 자살률 비교 41
[그림 2-5] 안전관련 법률 43
[그림 3-1] 광역별 지역안전지수 비교(2019년) 59
[그림 3-2] 세종시 손상사망자수 변화(2012~2018년) 61
[그림 3-3] 세종시 연령별 손상사망자수 변화(2012~2018년) 62
[그림 3-4] 세종시 원인별 손상사망자수 변화(2012~2018년) 63
[그림 3-5] 안전도시위원회 활동 66
[그림 3-6] 세종시 안전관리 5대 중점분야에 대한 시민 인식 68
[그림 3-7] 세종시 안전도시위원회 활동 72
[그림 3-8] 세종시 안전증진사업(132개) 73
[그림 3-9] 세종시 국제안전도시 공인신청서(2017년) 74
[그림 3-10] 세종시 국제안전도시 추진상황 최종보고회 74
[그림 3-11] 세종시 국제안전도시 공인 2차 본실사 75
[그림 3-12] 세종시 국제안전도시 공인 선포식 75
[그림 3-13] 세종시 안전증진사업 유형 (2020년 6월 기준) 78
[그림 3-14] 제10차 국제안전도시 아시아 연차대회 조직위원회 기구표 80
[그림 3-15] 안전도시위원회 실적 82
[그림 3-16] 시민 안전 소통공감콘서트 83
[그림 3-17] 부강면 부엉이마을 안심마을 만들기 사업 84
[그림 3-18] 주민 자율형 안전순찰대 84
[그림 4-1] 국내 국제안전도시 공인도시 사업수 비교 87
[그림 4-2] 제주 손상사고 감지시스템 흐름도 89
[그림 4-3] 제주 범도민 안전체험 한마당 90
[그림 4-4] 안전 하이(High) 콘서트 개최 94
[그림 4-5] 공주시 안전도시위원회 97
[그림 4-6] 공주시 마음저금통 비치 예시 98
[그림 4-7] 공주시 노인 안전귀가 서비스 99
[그림 4-8] 학사골동생(同行) 프로젝트 100
[그림 4-9] 공주시 신관동 번영2로 범죄예방 디자인사업 101
[그림 4-10] 순천시 PLUS 시민안전리더 활동사진 103
[그림 4-11] 구미시 통합관제센터 106
[그림 4-12] 구미시 '안심귀가 지원 NFC' 시연 108
[그림 4-13] Norway Ski kommune(municipality) 109
[그림 4-14] 학생 대상 화재안전교육 현장 113
[그림 4-15] Toshima safety community 115
[그림 4-16] 도시마 구 안전프로그램 활동 118
[그림 4-17] Jolfa Safe Community 121
[그림 4-18] Jolfa시 응급 출동서비스 및 임시 거주지역 122
[그림 4-19] Koriyama city area 126
[그림 4-20] 고리야마시 부상예방 model room 127
[그림 4-21] 고리야마역 주변 불법호객행위 및 감시단활동 128
[그림 4-22] 오스트리아의 9개 연방 주와 Vorarlberg의 위치 139
[그림 5-1] 안전도시 사업 도출과정 152
[그림 5-2] 사업 선정의 원칙 153
[그림 6-1] 재공인을 위한 비전 설정방향 171
[그림 6-2] 사업과제 추진전략 173